매일신문

'재생 필요한 도심에 청년 주거지 마련을"

전문가의 제안

1'2인가구 증가 등 주거문화 변화에 발맞춘 미래형 주택 정책은 어떤 내용을 담아야 할까?

전문가들은 우선 대중교통이 편리한 도심에 청년 거주용 주택을 마련하고, 민간 공급사업에는 용적률 확대 등 인센티브 지원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또 도심재생사업과 연계해 노후화한 도심에 일자리를 창출하는 등 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특히 노인'장애인'여성 가구주'극빈층 등 주거취약 계층 증가에 대한 해법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그들이 어디에 얼마나 살고 있는지 파악하는 게 선결과제로 꼽혔다.

대학생'사회초년생에 알맞은 주택 공급을 위해서는 '매입 임대주택' 활용이 한 방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예를 들어 6개월 이상 빈 주택을 정부'지방자치단체가 매입한 뒤 고쳐서 경북 등 다른 지역에서 온 대학생에게 기숙사처럼 공급하는 식이다. 김재익 계명대 도시계획과 교수는 "기존의 단지형 공공임대 주택은 주변의 시선이 부담인데 매입임대주택은 일반 주택 속에 섞여 있어서 그런 걱정이 없다"며 "위치도 도심에 있어 수요자 욕구에도 알맞다"고 말했다.

구도심을 도심재생사업과 연계해 1'2인 가구 맞춤 주택으로 공급하는 방안도 제시된다. 오래된 아파트를 재건축할 때 공공임대주택을 포함시키면 용적률에 인센티브를 주거나 지방자치단체가 폐'공가를 매입해 리모델링한 후 공급하는 식이다. 노후한 다가구'다세대주택이나 여관'여인숙'고시원 등을 매입해 1층은 서민'청년창업자를 위한 공공 임대상가로 저가에 공급하고, 2층부터는 소형 임대주택으로 공급하는 '소규모 주상복합건물'을 만들자는 아이디어도 있다.

정성훈 대구가톨릭대 경제통상학부 교수는 "주거문제 해결은 저출산'고령화로 인한 경기 침체에서 탈출할 기본적 방법"이라며 "노후 도심의 주거 환경이 개선돼 청년이 몰리면 주변 경기도 살아날 것"이라고 말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