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새누리당 대선 후보 등록하면 3천만원 지원

정당별 선거보조금은 얼마? 6개 정당 보조금 총합 421억원, 민주당 124억·한국당 119억원

5월 9일 대통령 선거에 들어가는 국민 세금은 얼마일까?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대통령 후보를 낸 정당에 한해서 선거보조금을 지급한다. 이 돈은 분기별로 각 정당에 지급되는 경상보조금과 별도로 국민들이 대선을 치르라고 정당에게 주는 돈인 셈이다. 11일 기준 대선 후보를 선출한 정당은 더불어민주당, 자유한국당, 국민의당, 바른정당, 정의당, 새누리당 등 총 6개 정당이다. 6개 정당 모두 15, 16일 대선 후보자 등록을 하면 선관위는 18일 선거보조금을 지급한다.

각 정당별로 받는 돈은 얼마일까? 선관위에 따르면 민주당 124억900만원, 한국당 119억7천400만원, 국민의당 86억6천400만원, 바른정당 63억3천900만원, 정의당 27억5천600만원이 각각 지급된다. 특히 박근혜 전 대통령 지지자들이 주축이 돼 최근 창당한 새누리당도 조원진 국회의원을 대선 후보로 등록하면 3천250만원을 받는다. 6개 정당의 선거보조금만 421억원이 넘는 규모다.

국고 지원된 선거보조금은 득표율에 따라 다시 보전된다. 사실상 '이중 지원'이다. 득표율이 15%를 넘으면 선거보조금 전액을 돌려받을 수 있고, 10~15%를 얻으면 절반, 10% 미만이면 한 푼도 받지 못한다. 각종 언론 여론조사에서 지지율 30%를 거뜬히 넘기는 문재인 민주당 대선 후보와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 후보의 경우 대선 비용으로 지급된 선거보조금과 똑같은 금액을 선거가 끝나면 다시 돌려받을 가능성이 높다.

국고보조금 외에도 자금 조달 방법이 있다.

후원금 모금, 펀드, 대출이다. 지난 18대 대선 때 박근혜 전 대통령은 '박근혜 약속펀드'로 250억원을 모았고 대출로 200억원을 마련했다. 문재인 민주당 대선 후보도 '담쟁이펀드'로 300억원을 모은 바 있지만, 이번에는 대선 기간이 촉박한 상황 탓에 펀드를 고려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 후보 역시 선거 펀드를 만들 시간이 부족해 대출 쪽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 홍준표 대선 후보는 펀드와 대출을 함께 고려 중이다. 유승민 바른정당 대선 후보는 '알뜰 선거'를 계획하고 있다.

바른정당 관계자는 "63억여원의 선거보조금 내에서 최대한 지출하고, 공식 선거운동 기간 중 유세 차량 사용과 선거 운동원 동원을 최소화하는 소박한 선거 방식을 짜고 있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