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첨복 '뇌암 줄기세포 치료제' 기술 이전

벤처기업 보로노이와 협약, 기술 이전료 25억원 규모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은 13일 국립암센터와 공동 개발한 뇌암 치료제를 보로노이(주)에 기술이전했다. 왼쪽부터 김현태 보로노이(주) 대표, 이재태 의료재단 이사장, 이강현 국립암센터 원장. 의료재단 제공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은 13일 국립암센터와 공동 개발한 뇌암 치료제를 보로노이(주)에 기술이전했다. 왼쪽부터 김현태 보로노이(주) 대표, 이재태 의료재단 이사장, 이강현 국립암센터 원장. 의료재단 제공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이사장 이재태, 이하 의료재단)은 13일 국립암센터와 함께 개발한 '뇌암 줄기세포 표적치료제'를 바이오 벤처기업인 보로노이㈜에 기술이전하는 협약을 체결했다.

서울 코엑스 '바이오 코리아 박람회'에서 체결한 이번 기술이전 협약은 '생체정보 모니터링 시스템'(2015년), '갑상선암 치료제'·'급성골수 백혈병 치료제'(2016년)에 이은 의료재단의 4번째 성과다. 기술이전료는 총 25억원 규모다.

의료재단 신약센터 최환근 박사 연구팀과 국립암센터 국제암대학원대학교 박종배 교수(대학원장)는 특정 유전자의 조절이 암 치료에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발견했고, 뇌줄기 세포를 표적으로 하는 표적치료제를 개발했다.

암 줄기세포는 암세포 일부이지만 전체 암의 성격을 조절하는 중요한 표적 세포다. 하지만 현재까지 이들 암 줄기세포에 대한 표적치료제는 개발되지 않았고, 암 치료법은 대부분 종양을 수축시키거나 절개하는 식이다. 뇌종양 경우도 절개수술이나 방사선, 약물치료를 진행해왔으나 재발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

이번에 개발된 치료제는 암 줄기세포를 표적으로 치료하는 물질이기 때문에 근본적인 치료의 길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신약센터와 국립암센터는 앞으로 보로노이와 협력해 전 임상 및 임상시험까지 진행할 계획이다. 또한 뇌종양뿐 아니라 다양한 암으로 적용 범위를 확대할 계획이다.

이재태 의료재단 이사장은 "암 줄기세포 표적치료제 개발은 암의 재발과 전이를 막을 수 있는 혁신적 치료법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 대구경북 첨복단지에서 대한민국 신약 개발의 새 역사를 써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윤석균 신약개발지원센터장도 "통상 신약 후보물질 하나를 개발하는 데 5년이 걸리지만, 신약센터는 건립 3년여 만에 항암제 3건을 연달아 개발해 기술이전했다"면서 "앞으로도 꾸준히 성과를 낼 것"이라고 말했다.

이강현 국립암센터 원장은 "암 줄기세포를 표적으로 하는 치료제는 기존 항암 치료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암 치료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획기적인 치료제가 될 것"이라며 "이번 협약을 계기로 조속한 시일 내 임상시험을 마치고 상용화에 성공해 난치성 암환자들에게 희망을 줄 것"이라고 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