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시장서 고전하던 일본 공작기계 업체들이 최근 웃음을 되찾았다.
중국의 인건비가 급등하자 공장 자동화를 위한 기계 수요가 늘어난 데 따른 것이다. 19일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최근 중국시장에서 공작기계 수주 등에서 회복 기조가 나타났다.
자동차판매 호조, 스마트폰업체 성장, 제조업 현장의 자동화 요구가 맞물린 영향이 컸다.
실제 일본 공작기계 업체의 중국 공작기계 수주액은 지난 1월 14개월 만에 플러스로 전환한 데 이어 2월에는 전년 동월 대비 55.5%나 늘어나며 회복세가 강해졌다.
중국 베이징에서 22일까지 개최되는 공작기계 국제전시회 'CIMT'에서는 일본 업체 파낙이 전시한 산업용 로봇 앞이 관람객들로 붐볐다고 한다.
파낙은 2018년 중국 내륙 충칭과 남부 광저우에 판매'서비스 기능과 전시장을 갖춘 '테크니컬센터'를 개설한다.
이나바 요시하루 파낙 회장은 중국에서 인건비가 급등하면서 산업용 로봇 수요가 크게 늘어나고 있다면서 산업용 로봇을 일본에 있는 공장에서 증산할 예정이라고 신문에 밝혔다.
미쓰비시전기는 다롄의 생산거점에서 자동차부품 가공 등에 사용하는 방전가공기 생산을 5월 말까지 월간 110대에서 170대로 늘린다. 기계제어용 수치제어(NC) 장치도 중국용을 1.5배 늘릴 방침이다.
인건비 급등 등으로 중국 제조업 현장은 일손부족이 심각하다. 중국 정부는 기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중국제조2025'를 내세워 사물인터넷(IoT) 도입이나 자동화 등을 독려하고 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