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선 D-19] 유력 후보 4인 공약…'통합 대구공항' 가속도

새 관문공항 도약 기대감

19대 대선의 유력 정당 후보들이 통합 대구공항 건립사업에 대해 "차기 정부 사업으로 추진하겠다"고 약속하면서 통합 대구공항 건립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유력 대선 후보 상당수는 대선 공약으로 통합 대구공항 건립 및 연계 교통망 구축을 내걸었다. 이로써 대구경북이 새로운 관문 공항을 통해 한 단계 도약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후보

문 후보는 공항 이전사업 지원을 약속하면서 연결교통망 등 연계사업 추진 전략도 제시하고 나섰다.

문 후보는 "대구와 경북 지역사회가 합의하면 군공항과 대구공항의 성공적 이전을 뒷받침하고 지역거점 공항으로 육성하겠다"며 "연계 산업인 대구권 광역철도 사업도 지원하겠다"고 공약했다.

그는 "남북으로 김천-구미-대구-경산-밀양을 잇고, 동서축으로 동대구에서 영천을 잇는 광역철도를 건설, 공항 활성화와 출퇴근 교통불편 해소, 궁극적으로 지역경제를 살릴 수 있다"고 설명했다.

문 후보는 통합 대구공항이 만들어지면 대구가 국제적인 물산업 허브 도시로 커갈 수 있고, 안경'섬유 등 뿌리산업 발전도 동시에 이끌어 수출 주도 도시로 다시 올라설 수 있다고 했다. 또 공항을 통해 관광객 유치가 기대되고 정주 환경 개선을 위한 도시재생사업도 벌이겠다고 약속했다.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

안 후보는 "대구 K2공군기지 및 민간공항을 이전해 조성하는 통합 대구공항은 대구경북의 하늘 문을 여는 관문 역할을 하게 된다. 내륙의 한계를 극복하고 세계로 나갈 수 있는 출발점이 될 것이다. 따라서 통합이전 작업은 기존 정부 방침대로 반드시 시행돼야 한다. 당선되면 통합이전 작업이 순조롭게 이뤄질 수 있도록 꼼꼼하게 살펴보겠다"고 다짐했다.

그는 또 "통합 대구공항은 대구경제활성화 종합계획의 핵심 역할을 맡을 것이다. 지역 경기에 활력을 줄 수 있는 방안을 중심으로 진행해야 한다. 대구시민의 여론을 적극 수렴해서 이전 비용 조달과 교통망 구축에 대한 구체적인 복안을 마련하겠다. 법률이 정한 방식에 따라 이전작업이 원만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돕겠다. 연결교통망도 잘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홍준표 자유한국당 후보

홍 후보는 "도심 속 군사공항으로 인해 60여 년 동안 대구시민들이 소음 피해와 재산권 침해를 입어 왔다. 군사공항 이전 및 통합 대구공항 건설로 급격히 늘어나는 지역의 항공 수요를 조기에 감당하고 대구경북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겠다"는 공약을 내놨다.

홍 후보는 인천국제공항을 모델로 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세계적 공항으로 올라선 인천국제공항의 성공 경험은 통합 대구공항 구축에 큰 조력자 역할을 할 것이다. 인천국제공항의 접근경로는 육'해'공 모두 열려 있어 방문객들의 접근성을 완벽히 보장하고 있다. 통합 대구공항 활성화를 위해 철도, 공항터미널, 고속도로, 광역도로 등을 포함한 '최적의 연결 교통망 구축'을 추진할 것"이라고 했다.

◆유승민 바른정당 후보

유 후보는 "대구경북 관문공항 건설 및 연결교통망 구축을 공약한다"며 "도심 공항으로 인해 60여 년 동안 대구시민의 10%가량인 24만 명이 소음 피해를 입었고, 대구시 면적의 13% 수준인 114.33㎢가 고도제한에 걸려 있다. 반드시 통합 이전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통합 대구공항의 성공적 개항을 위해서는 대구경북 전 지역에서 통합 대구공항까지 1시간 내에 도달할 수 있는 도로 및 철도 등 연결 교통망이 필요하다"며 ▷조야~동명 광역도로(대구~칠곡군~통합 대구공항) 건설 ▷성주~군위 고속도로(성주군~구미시~통합 대구공항) 건설 ▷중앙고속도로(금호JC~가산IC 구간~통합 대구공항) 확장 ▷신대구부산고속도로(동대구JC~수성IC 구간~통합 대구공항) 확장과 ▷서대구역'동대구역~통합 대구공항 연결철도망 및 공항터미널 건설 등 연결 철도망 구축을 공약했다.

◆심상정 정의당 후보

심 후보는 "사업이 졸속으로 추진되고 있다. 동남권 신국제공항 건설과 관련된 5개 지방정부의 합의가 필요하다"며 통합 대구공항 사업에 대한 재검토를 요구했다.

그는 "이대로 가면 원만하게 진행되지 못할 것으로 예상한다. 대구시가 동분서주하고 있지만 중앙정부의 재원지원 방안도 없는 상황이라 사업 추진이 겉돌 가능성이 크다"며 "이제라도 동남권 신공항 건설 과정에서 머리를 맞댔던 5개 지방정부가 다시 합의를 시도해야 한다. 지방정부 간 갈등이 엄존하는 상황에서 대구시의 의지만으로 지역주민들의 기대에 부응하는 공항 건설은 어렵다"고 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