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중국, 북핵 해결에 '大國'다운 전향적인 모습 보여야

중국이 미국의 북한 핵시설 타격을 용인하고, 대북 원유 공급을 축소하는 등의 초강경 메시지를 내놓아 주목된다. 이 메시지가 관영 매체를 통해 나온 것인 만큼 실현 가능한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하겠지만, 지금까지 나온 중국의 조치 가운데 초유의 강경책임에는 분명해 보인다. 북한 핵실험으로 한반도를 둘러싼 긴장이 고조되는 가운데, 중국이 북핵 저지에 적극적인 역할을 하겠다는 강한 의지를 표명하고 있는 만큼 그 어느 때보다 기대감을 갖게 한다.

중국 관영 환구시보는 사평(社評'사설)에서 "중국이 취할 수 있는 북핵 문제 해결책에는 한계가 있다"며 북한과 한미 양측 모두에게 중국의 선택 가능한 방안을 제시했다. 외교적 설득에 총력을 기울이되, 여의치 않을 경우 북한 정권 붕괴나 지상 전면전은 용인할 수 없지만, 대북 원유 공급 축소와 북한 핵시설에 대한 제한적 타격은 용인하겠다는 것이다.

환구시보가 민감한 외교 사안에 대해 중국 당국의 입장을 대변해 온 매체임을 감안하면 '북한 핵시설 타격 용인'이라는 문구는 임의로 쓸 수 있는 입장이 아니다. 중국이 미국의 압박에 밀린 탓인지 모르겠으나. 북한 핵실험과 한반도 긴장 상태를 엄중한 사태로 규정하고, 이번에는 반드시 해결해야 한다는 부담감을 갖고 있음을 보여준다.

중국이 북한 핵시설 타격에 군사적 개입을 하지 않겠다고 밝힌 것은 북한을 강하게 압박하기 위해서다. 아무리 좁게 해석하더라도, 제재와 대화 사이에서 줄타기를 하던 중국이 고강도 제재 방향으로 선회한 것은 확실해 보인다. 중국은 북핵과 관련해 어정쩡한 태도를 고수하다 북한을 제어하는 데 번번이 실패한 전력이 있다. 중국은 한국과 국제사회의 기대에는 전혀 부응하지 못하면서 북핵 문제의 주도권만 잡으려는 이중적인 모습을 보였다.

북한이 핵실험을 일삼고, 한반도 긴장이 이만큼 높아진 데는 중국의 책임이 절대적으로 크다. 중국은 한반도 문제에 '굴기(崛起'우뚝 섬)만 있을 뿐, 화평(和平)은 없는' 어설픈 외교 전략만 보여준 채 체면을 구겨왔다. 이번만큼은 실효성 있는 제재와 조치로 북핵 문제를 해결해 '대국'(大國)다운 모습을 보여주기 바란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