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물·의료·미래車…8대 사업 확정

대구시 4차산업 혁명과제 선정

대구시가 4차산업 혁명 선점에 나섰다. 저성장 기조가 장기화하면서 4차 산업혁명이 성장을 위한 핵심 화두로 떠오른 만큼 지역의 미래먹거리 산업을 확보하기 위해서다. 23일 대구시에 따르면 올해 2월부터 시가 구성'운영하고 있는 민'관'산'학'연 협의체인 '미래산업육성추진단'에서 8개 분야 워킹그룹회의와 실무태스크포스팀 회의를 거쳐 최종적인 미래전략과제를 확정하고 산업융합 네트워크를 통한 새로운 협치경제 모델을 구축 운영한다. 미래전략과제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해 인간을 중심으로 한 기술 간, 산업 간 융합과제를 중심으로 선정했다.

분야별 대표 과제로는 ▷물 분야-환경산업 적정기술 네트워크 구축 ▷의료 분야-의료데이터분석 및 지능형 진단'치료지원 솔루션 개발 ▷미래형자동차 분야, 자율주행자동차 핵심기술 개발 ▷스마트에너지 분야-미래에너지타운 조성에 나선다. 또 ▷ICT 융합 분야-한국형 스마트제조혁신 성장기반 구축 ▷로봇'기계 분야-가상증강현실 융합 로봇테인먼트 육성기반 조성 ▷소재 분야-초고성능 융합세라믹산업 고도화 및 실증기반 구축 ▷문화 분야-가상현실(VR) 융복합 활성화 지원 사업 등이다. 미래산업육성추진단은 각 분야별 워킹그룹회의, 실무태스크포스팀 회의를 거쳐 최종 28개 미래전략과제를 확정, 발표하고 향후 산업융합 네트워크 를 통한 새로운 협치경제 모델을 구축 운영할 예정이다. 시는 이미 과제별 실무책임담당관을 지정하고 정부 국책사업으로 반영하기 위해 관련 부처와 접촉 중에 있다.

이와 함께 8대 산업별 주요 기업들을 대상으로 기술보유 현황과 제품수요 현황, 산업 간 연계희망 기술 조사, 융합과제 기획에 대한 기업 수요 파악 등을 통해 관련 정보를 기업들에게 공개하고 자율적 참여를 이끌어내는 '산업융합 네트워크 Day'를 진행한다. 내달 초 '미래형자동차 산업융합 네트워크 데이'를 개최하고 이후 다른 미래산업 분야에 대해서도 순차적으로 행사를 열 계획이다. 행사를 통해 기업별 수요를 조사한 뒤에는 과제를 기획하기 위한 책임연구관제를 지정'운영하고 국책사업화을 추진한다. 연말에는 '8대 산업 융합컨퍼런스'를 개최해 성과 및 우수사례를 공유할 예정이다. 4차 산업혁명은 올해 최대의 정책 이슈로 떠오른 주제다. 그런 만큼 대구시는 올해 시정 핵심가치를 민생과 미래, 혁신, 상생에 두고 민간의 자발적 참여를 바탕으로 한 오픈형 플랫폼 형식의 기술'산업 간 융합네트워크를 구축 및 운영한다는 목표다. 대구시 홍석준 미래산업추진본부장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선도자 독점구조'의 새로운 경제논리가 시장을 지배하면서 기술 간, 산업 간 융합이 빠르게 전개될 전망이다. 대구시는 폐쇄적이던 지역 산업 시스템을 개방형'수평적 연계협력 체제로 바꾸고 신산업을 육성하며 생태계 조성의 원동력을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