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첨단의료복합단지(대경첨복단지)의 재정 자립 부담이 현재 15%에서 2025년 55%(목표)까지 늘어날 전망이다. 정부는 2019년까지 대경첨복단지에 2천억원가량의 연구개발비를 지원하는 등 재정 자립을 돕는다는 계획이다.
보건복지부는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첨단의료복합단지 제3차 종합계획(2017∼2019)'을 확정해 지난 4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정부는 2019년까지 3년간 대경 및 오송첨복단지를 대상으로 기업 맞춤형 공동연구개발 등을 위해 양 단지에 절반씩 총 4천400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연구 인력도 현재 400여 명에서 600여 명으로 연차별로 충원한다.
첨복단지의 재정 자립 부담은 2025년까지 55%로 늘어난다.
대경첨복단지를 운영하는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대경의료재단) 경우 첨복단지 운영 효율성 제고를 통해 현재 15% 수준인 재정자립도를 2019년 38%, 2025년 55%까지 끌어올려야 한다.
대경의료재단의 올해 예산은 국비 178억원을 포함해 220억원가량이다.
복지부는 아울러 올 하반기 의료재단 정관 개정을 추진해 중앙 부처 위주에서 이사회(장) 중심으로 의료재단이 운영될 수 있도록 하고, 국비 연구개발비 중 일부를 의료재단의 인건비로 쓸 수 있도록 길을 터준다는 방침이다.
대경의료재단은 제3차 종합계획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이라는 평가를 내놓고 있다.
무엇보다 그동안 논란이 됐던 '2018년 의료재단 완전 자립' 방침이 철회되고, 그 대신 '2025년 55% 자립'으로 시기와 재정 부담 정도를 처음으로 명시했다는 점이다. 이는 의료재단의 입장을 거의 수용한 것이다.
또 의료재단은 그동안 이사회 결정 사항에 대해 다시 복지부'미래부'산자부 승인을 받아야 했지만, 앞으로는 이사회 위주로 각종 결정이 이뤄짐에 따라 첨복단지 운영의 효율성도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대경의료재단 관계자는 "그동안 논란이 됐던 첨복단지 관련 현안들이 대부분 잘 가닥을 잡았다"면서도 "다만 재단의 재정 자립 부담이 늘어나는 만큼 공공성과 수익성을 잘 조화시키는 운영의 묘가 필요하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김문수·이준석, 단일화 '1차 시한' 넘겨…앞으로 지지율이 변수
서문시장 온 설난영 "심장 팔짝팔짝 뛰는 대구 되려면 김문수"
明 맹추격하는 金, '미워도 다시 한번' 보수결집 시작했다?
홍준표 "이준석 투표, 미래에 대한 투자"
이재명 "비법조인 대법관, 제 입장 아냐…당에 자중 지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