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첫 총리로 '호남 출신' 발탁…통합·화합 의지 강조

정부 인사에 담긴 의미

문재인 대통령이 10일 청와대 본관 집무실에서 제1호 업무지시로
문재인 대통령이 10일 청와대 본관 집무실에서 제1호 업무지시로 '일자리위원회 설치 및 운영방안'을 하달한 후 배석한 임종석 신임 비서실장과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

10일 발표된 문재인정부의 첫 인사 발표와 관련, 다중 포석이 깔린 준비된 인사라는 청와대 안팎의 평가가 나오고 있다.

우선 국무총리 후보자로 이낙연 전라남도지사를 지명한 것은 여러 목적이 들어간 것으로 분석된다.

문 대통령은 선거운동 기간 여러 차례 '호남 총리'를 공언해온 만큼 공약을 지킨다는 첫째 의미가 있다. 호남 인재를 발탁해야 균형 인사가 가능하다고 판단해온 문 대통령은 새 정부 첫 총리를 대탕평, 통합형, 화합형 인사로 임명하겠다고 공약해왔다. 이 공약을 지키는 적임자가 바로 이 지사라는 것이다.

능력 측면에서도 문 대통령에게는 흡족한 수준이다. 호남 4선 국회의원 출신으로 당의 요직을 두루 역임해 정치적 경험이 풍부하고, 또 전남도지사로서 안정적인 행정 경험도 갖고 있다는 점을 문 대통령은 높게 샀다. 오랜 기자 생활을 통해 갖춘 균형감도 문 대통령을 만족시킨 것으로 보인다.

하루속히 국정을 안정시켜야 하는 비상 과도기여서 국회 청문회 과정에서의 마찰을 줄일 수 있다는 점도 고려된 것으로 보인다. 국회의원 생활을 오래 해와 이 지사는 현재 야권에도 우군이 적지 않다,

국가정보원장 후보자로 서훈 전(前) 국정원 3차장을 지명한 것은 경색된 남북 관계를 풀어나가야 하는 숙제를 안은 문재인정부에 꼭 필요한 인물이라는 판단이 선 것으로 풀이된다.

서 후보자는 평생을 국정원에 몸담았던 남북 관계 전문가로, 두 차례 남북 정상회담을 모두 기획하고 실무협상을 해온 사람이다. 북한 업무에 가장 정통한 사람이라고 문 대통령은 판단했다. 무엇보다 국정원 출신 인사 가운데 국정원 개혁 의지가 누구보다 강해 국정원 개혁 목표를 구현할 수 있는 최적임자라는 점도 함께 고려됐다고 문 대통령은 설명했다.

임종석 전 국회의원이 대통령 비서실장으로 들어온 것은 청와대 문화를 바꾸려는 시도의 일환이다. 젊은 청와대, 역동적이고 탈권위적, 그리고 군림하지 않는 청와대로 변화시킨다는 것이 문 대통령의 생각이며 이 작업의 최적임자가 임 실장이라고 판단했다고 문 대통령은 10일 밝혔다. 젊은 비서실장을 중심으로 청와대 참모들과 격의 없이 대화하고, 참모들끼리 치열하게 토론하면서 열정적으로 일하는 문화로 바뀌어야 한다고 문 대통령은 주장했다.

대통령경호실장에 주영훈 전(前) 경호실 안전본부장을 임명한 것은 공약 실행과 맞물려 있다.

친근한 경호, 열린 경호, 낮은 경호를 목표로 경호실이 거듭나도록 할 적임자라고 판단했고, 무엇보다 광화문 대통령 시대를 잘 뒷받침해 줄 사람이라고 문 대통령은 주 실장을 치켜세웠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