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부터 한국 남자 아이스하키 대표팀을 이끄는 백지선(50·영어명 짐 팩) 감독은 서울에서 태어나 한 살 때 캐나다에 이민 간 교포 출신이다. 1985년 북미아이스하키리그(NHL) 신인 드래프트에서 피츠버그 펭귄스의 지명을 받은 백 감독은 1990~1991시즌에 한국인 최초로 NHL 무대를 밟았다.
오랜 마이너 시절을 거쳐 피츠버그 라커룸의 한 자리를 차지한 백 감독은 바로 옆자리를 NHL에 갓 데뷔한 18살 신인 선수와 쓰게 됐다. 훗날 NHL을 대표하는 선수로 성장한 그는 바로 그해 신인 드래프트에서 전체 5순위 지명을 받은 야로미르 야거(45·플로리다 팬서스)였다.
체코 출신의 야거는 일찍부터 천재성을 인정받았다. 야거를 영입한 피츠버그는 1991년 창단 이후 처음으로 스탠리컵을 들어 올렸다. 백 감독이 아시아인으로는 최초로 NHL 우승의 영광을 맛본 순간이었다. 백 감독은 야거와 함께 2년 연속 스탠리컵 우승을 차지했다.
1990년 NHL 데뷔 당시 현역 최연소 선수였던 야거는 현역 최고령 선수로 여전히 빙판을 누비고 있다. 야거는 골과 어시스트를 합친 공격 포인트를 가장 많이 쌓은 선수에게 수여하는 '아트로즈 트로피'를 5번 수상했고, 1998~1999시즌에는 리그 최우수선수(MVP)에 선정됐다. 지난해 12월 23일에는 마크 메시어(은퇴·1천887포인트)를 추월하며 역대 포인트(골+어시스트) 단독 2위로 올라섰다.
리그 성적만큼 그를 빛나게 하는 것은 국가대표로서의 성과다. 1998년 나가노 동계올림픽에 NHL의 참가가 처음으로 허용되자 주저 없이 합류해 조국에 금메달을 선사했다. 당시 체코의 전력은 중위권 정도로 평가됐으나 최고의 선수였던 야거와 철벽 문지기 도미니크 하섹을 앞세워 준결승에서 캐나다, 결승에서는 러시아를 차례로 격파하는 파란을 일으켰다.
야거는 누구보다 애국심이 강한 선수다. 대표팀에서건, 소속 프로팀에서건 그의 등번호는 68번. 1968년 러시아의 전신인 소련이 체코의 민주화 운동을 짓밟은 '프라하의 봄'을 상징하는 숫자다. 그 과정에서 정치범으로 몰려 사망한 할아버지를 기리는 숫자이기도 하다. 그래서 러시아를 누르고 우승한 감격은 더 컸다.
야거는 1998년 나가노를 시작으로 2014년 소치까지 5번의 동계올림픽을 개근했다. 평창 동계올림픽 출전 의사는 아직 밝히지 않았으나 참가가 유력하다. 한국은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에서 캐나다, 체코, 스위스와 함께 A조에 속해 있어 만약 야거가 출전한다면 백 감독은 감독과 선수로 맞대결을 펼치게 된다.
내년 평창 동계올림픽을 앞두고 NHL 사무국은 보이콧을 선언한 상태. 하지만 개인 자격으로 참가할 경우 구단이 이를 허용할지는 결정을 내리지 않았다. NHL에서 가장 존경받은 선수인 야거가 평창에서 선수 생활의 마지막 불꽃을 태우겠다고 하면 이를 막을 사람은 아무도 없다고 봐야 한다.
백 감독은 "그를 보고 싶은 것은 물론이다. 야거가 NHL에 데뷔했을 때 우리는 피츠버그 라커룸에서 바로 옆자리를 썼다"며 "야거를 평창에서 만난다면 환상적인 일이 될 것"이라고 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검찰, '尹 부부 사저' 아크로비스타 압수수색…'건진법사' 의혹 관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