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흑구문학상 수상작이 8년 전 발표된 작품이라는 의혹이 사실로 확인(본지 9, 12일 자 8면 보도)되자 그 배경을 둘러싼 또 다른 의혹이 제기되는 등 논란이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문인들은 해당 문학상뿐만 아니라 전체 문학상에 대한 점검과 문단권력 척결을 주장하는 한편 이번 사태를 불러온 작가와 주최 측의 명확한 해명과 재발 방지책도 촉구했다.
전국의 문인과 아마추어 문인 4천800여 명이 활동하는 인터넷 카페 '신춘문예공모나라' 회원들은 "우리나라 문학판의 민낯이 드러난 사건"이라며 "주최 측은 작가의 양심을 운운하기에 앞서 구조적으로 잘못된 부분이 있는지 여부부터 속시원히 밝혀야 한다"고 성토했다.
대구의 한 문인은 "당선 취소로 결론 내버린 뒤 사과 몇 마디로 끝낼 문제가 아니다. 시상식 이전 몇몇 문인들이 문제를 제기했고, 주최 측은 이를 무시했다. 매일신문 보도가 없었으면 그냥 넘어갔을 가능성이 크다"고 비판의 날을 세웠다. 서울의 한 중견 수필가도 "어떤 부정한 결탁 없이 공모요강을 위반한 작품에 상을 줬다면 누가 믿을 수 있겠느냐"고 했다.
포항 한 문인 모임은 "흑구문학상 공모전에 참여한 지역 문인들의 자존심이 무참히 짓밟혔다. 문학상이 비정상적인 힘에 의해 좌지우지되는 현실을 이번 기회에 반드시 바로잡아야 한다"고 했다.
최초 제보자 A씨도 "문학상 응모작을 고르는 과정에서 검증은 필수다. 올해 수상작은 인터넷 검색만 해봐도 이미 발표된 작품이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주최 측이 이를 몰랐다는 것은 황당한 변명이다. 작가와 주최 측의 공모 없이는 이뤄질 수 없는 일로 보이며, 이를 밝히려면 경찰 수사가 필요하다"고 했다.
이번 사태는 외국에서도 관심을 보이고 있다. 캐나다 한국문인협회 회원들은 최근 인터넷 카페에 관련 게시글을 퍼 나르며 향후 결과에 주목하고 있다.
이와 관련 해당 작가는 "공모요강을 처음 접할 때 미발표작이라는 말이 없었고, 작품을 제출할 때도 기성작가를 예우하는 차원에서 진행하는 공모전인 줄 알았다. 수상 이후 미발표작이 단서조항이라는 사실을 알게 됐고, 주최 측에서 이를 문제 삼았다. 이에 '기존 작품에 문장 두 단락을 추가했다'고 답했고, 주최 측은 '수정'보완했다면 미발표작'이라고 해석해줘서 문제없다고 여겼다"고 말했다.
주최 측 관계자는 "지역 문학 발전을 위해 애쓴다는 게 이런 결과로 이어져 안타깝다. 이번 일을 계기로 흑구문학상이 새로 태어나는 계기로 삼겠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