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성그룹 "미생물, 성장 가능한 에너지원"

창립 70돌 콘퍼런스 마무리…30여 벤처캐피탈 투자 논의

창립 70주년을 맞은 대성그룹이 22일 서울 신라호텔에서 \
창립 70주년을 맞은 대성그룹이 22일 서울 신라호텔에서 \'FEW NEXUS 콘퍼런스 & IICE 포럼\'을 열고 에너지원으로서 미생물의 가능성을 논의했다. 사진은 대성그룹 김영훈 회장. 대성그룹 제공

대성그룹이 창립 70주년을 맞아 화석연료 에너지를 미생물 에너지로 대체할 방안을 논의하는 장을 열었다. 대성그룹은 22일 서울 신라호텔에서 'FEW NEXUS 콘퍼런스 & IICE 포럼'을 열었다. 이날 대성그룹은 '식량, 에너지, 물'이 서로 유기적 관계를 맺고 있다는 개념을 대성그룹의 100년 비전으로 밝히며 행사를 주도했다.

행사는 미생물이 'FEW 넥서스에 대한 솔루션'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진행됐다.

학술 콘퍼런스에서는 인하대 생명공학과 이철균 교수가 'FEW NEXUS 관점에서 본 바이오 연료 성공의 주요 기준'을, 이탈리아 피렌체대학 농업환경대 농업미생물학 마리오 트레디치 교수가 '바이오에너지 및 식용 해양 미세조류'를 발표했다.

또 시스템대사공학 분야 세계적 권위자인 KAIST 생명화학공학과 이상엽 교수가 '미생물 대사공학을 이용한 다양한 자연화합물 생산과 관련 생산성 확보 방안'을 발표해 주목받았다.

이어 미생물 관련 벤처기업 및 과학기술자와 투자자를 서로 이어 주는 IICE(Inventor-Investor Close Encounter) 포럼이 열렸다. 이 포럼은 대성그룹 김영훈 회장이 지난해 10월 민간 에너지 기구 '세계에너지협의회'(WEC) 회장으로 취임하면서 강조한 비전 중 하나로 이날 처음 열렸다.

포럼에서는 미생물, 에너지저장장치(ESS) 등 분야 신기술을 보유한 총 6명(회사)이 발표했다. 또 30여 개 벤처캐피탈사(VC)가 참여해 발표와 투자 논의를 이어갔다.

영국 브리스톨 로봇연구소의 이오아니스 이에로폴로스 교수가 '소변을 이용한 미생물 연료전지와 이를 탑재한 로봇 개발'을 발표하며 투자설명회를 이끌었다. 이오아니스 교수는 앞선 다보스포럼에서 김 회장과 만난 일을 계기로 이날 행사에 참석했으며 1부 콘퍼런스와 2부 포럼에 모두 참여해 눈길을 끌었다.

김 회장은 "화석연료의 대안으로 다양한 에너지원에 대해 오랜 기간 고민하던 중 미생물 분야가 성장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해 이번 행사를 마련했다. 이번 콘퍼런스를 계기로 미생물을 활용한 물과 식량문제 해결의 가능성을 다시 한 번 확인했다"고 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