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질 외유' 논란에 휩싸인 김기식 금융감독원장이 19대 국회 종료 직전 정치자금 잔액을 반납하지 않고 유럽으로 외유를 떠났다는 의혹이 새롭게 제기됐다. 김 원장은 이번 유럽 출장에도 논란이 된 여비서를 대동한 것으로 드러났다.
자유한국당 김성태 원내대표는 10일 기자간담회를 자청해 "김 원장은 2016년 5월 20∼27일 독일을 거쳐 네덜란드와 스웨덴으로 외유를 다녀온 것으로 확인됐다. 이번에도 또다시 여비서 김모 씨가 동행한 것으로 확인돼 충격을 더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 씨는 2012년 6∼8월, 2015년 1∼6월 김기식 당시 의원실에서 인턴을 했고 2015년 6월 김 원장과 함께 해외 출장을 다녀왔다. 이후 김 씨는 9급 비서로 채용됐고, 2016년 2월 7급으로 승진했다. 김 원내대표는 "19대 임기를 3일 남겨놓고 공무상 출장을 갈 일이 없고 정치자금법상 후원금이 남는 경우 전액 국고 반납조치해야 하는데도 그러지 않았다"며 "그야말로 정치자금을 '삥땅' 치는 '땡처리 외유'"라고 주장했다.
김 원내대표는 근거 자료로 김 원장의 19대 정치자금 회계보고서를 제시했다. 아울러 인턴 비서 김모 씨와 관련해 "석사 출신 전문가이고, 연구기관을 담당하는 정책비서라고 김 원장이 밝혔지만 2012년 6월 인턴 직원으로 들어올 때는 석사 학위를 취득한 사실이 없다"고 말했다.
특히 김 원내대표는 '김기식 논란'을 문재인 정권 전반의 도덕성 문제로 연결했다. 김 원장이 연구소장을 맡은 바 있는 재단법인 '더미래연구소'의 강의 내역 등을 보면 2015년 1기 아카데미는 1인 수강료로 350만원을 책정하고, 장하성 정책실장'홍종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우상호 의원 등 여권 인사로 강사진을 채웠고, 2016년 2기 강좌에선 수강료를 600만원으로 올리고 조국 민정수석'이종석 전 통일부 장관'도종환 문화체육관광부 장관'김영춘 해양수산부 장관 등으로 강사진을 구성했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 한국당과 바른미래당은 김 원장에 대해 뇌물'직권남용'공직자윤리법 위반 등의 혐의로 서울중앙지검에 고발장을 제출했다. 유승민 바른미래당 공동대표는 "부적절한 출장 외에도 김 원장은 참여연대 시절 대기업 지원으로 1년간 해외연수도 했다"며 "재벌'대기업을 비판하면서 대기업 돈을 받아 미국 연수를 다녀온 것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느냐"고 지적했다.
청와대는 10일에도 해임할 사안이 아니라는 기존 입장을 고수했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어제 입장에서 변화가 없다. 김 원장의 자진 사퇴 가능성도 없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李 대통령 지지율 57%…긍정·부정 평가 이유 1위 모두 '외교'
대장동 민간업자 김만배·유동규 1심 징역 8년…법정구속
李 대통령 "韓日, 이웃임을 부정도, 협력의 손 놓을수도 없어"
'연일 한복' 김혜경 여사, 경주 산책하며 시민들과 '찰칵'
한중 정상회담 호혜적 협력관계 증진 공감대 이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