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세월호 참사 이후 끊긴 인천∼제주 항로여객선이 이르면 내년 하반기부터 다시 운항한다.
인천지방해양수산청은 인천∼제주 항로 여객선 운항 신규 사업자로 대저건설을 선정했다고 30일 발표했다.
대저건설은 현재 포항∼울릉도(저동항) 항로 여객선을 운항하고 있다.
인천해수청은 이번 인천∼제주 항로 여객선 사업자 공모에 제안서를 낸 7개 업체를 대상으로 사업수행능력과 사업계획 적정성 등을 평가했다.
대저건설은 재무건전성(신용도) 분야와 사업계획 수립,포항∼울릉도 여객선 운항 경험 등에서 좋은 평가를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새 사업자로 선정된 대저건설은 인천∼제주 항로에 세월호(6천825t)의 3.6배에 달하는 오리엔탈펄8호(2만4천748t)를 투입할 계획이다.
2016년 7월 건조된 카페리선(여객+화물)인 오리엔탈펄8호는 최대 1천500명의 승객과 차량 120대,컨테이너 214TEU(1TEU는 20피트짜리 컨테이너 1대분)를 싣고 22.3노트(시속 41.3㎞)의 속력으로 운항할 수 있다.
세월호의 최대 정원은 921명,차량 적재 대수는 220대였다.
인천∼제주 항로 여객선은 선박 크기가 커지면서 기존의 인천항 제1국제여객부두 접안시설을 이용하게 된다.이 때문에 현재 건립 중인 인천항 신국제여객터미널로 제1·2국제여객터미널이 이전하는 내년 6월 이후 취항할 수 있다.
인천해수청 관계자는 "공정하고 투명한 선정절차를 통해 우수업체를 선정하는데주력했다"며 "안전하고 편안한 여객선이 운항하도록 준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인천∼제주 항로 여객선은 세월호(6천825t급)와 오하마나호(6천322t급)를 운항하던 청해진해운이 2014년 5월 면허 취소를 당한 이후 다른 운송사업자가 나서지 않아 4년째 뱃길이 끊겨 있다.
현재 5천901t급 화물선 1척만 인천과 제주를 주 3차례 운항하고 있다.
앞서 인천해수청은 2016년 11월에도 인천∼제주 항로 여객운송사업자를 공모했지만,당시 제안서를 낸 유일한 업체가 적격 기준(100점 만점에 80점)에 미달해 항로가 열리지 못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대장동 민간업자 김만배·유동규 1심 징역 8년…법정구속
李 대통령 지지율 57%…긍정·부정 평가 이유 1위 모두 '외교'
李 대통령 "韓日, 이웃임을 부정도, 협력의 손 놓을수도 없어"
시진핑에 '최고급 바둑판' 선물한 李…11년전 '바둑알' 선물에 의미 더했다
한중 정상회담서 원·위안 통화스와프 등 7개 MOU 체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