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文대통령, 美·中·日·러와 비핵화 실천 대장정 돌입

이번 주부터 4강 정상과 '포스트 남북' 잇단 회담

남북 정상회담에서 북한의 비핵화 의지를 끌어낸 문재인 대통령이 이번 주부터 각국 정상들을 만나 '포스트 남북' 대장정에 돌입한다.

남북 정상회담 이후 미국'중국'일본'러시아 등 4강 정상과 통화해 판문점 선언 후속 조치 협력 의지를 끌어내고 비핵화의 세부 실천을 담보할 정상외교전에 들어가는 것이다.

문 대통령은 먼저 취임 후 처음으로 9일 일본을 방문해 리커창(李克强) 중국 국무원 총리와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를 만나서 판문점 선언 속 비핵화와 평화체제 구축의 동력을 이어갈 방침이다.

문 대통령은 리 총리와 아베 총리에게 남북 정상회담 결과를 설명하고 한반도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정착을 위한 3국 협력 강화 방안을 협의할 계획이다.

특히 중국에 대해선 북한이 남북 정상회담에서 밝힌 비핵화 의지를 이행하도록 관여해 달라고 당부할 것으로 보인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남북 정상회담에 앞서 지난 3월 시진핑 주석과 정상회담을 하는 등 북중 간 관계가 급속도로 밀착한 만큼 향후 비핵화 이행 과정에서 중국의 협력은 필수적이다.

문 대통령은 동북아 다자안보체제를 구축하고자 하는 일본과도 적극적인 소통으로 한반도 평화정착과 관련한 자신의 로드맵을 이행하는 데 협조를 요청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한중일 정상회의와 별도로 진행될 한일 정상회담에서 자국 여론을 의식한 아베 총리로부터 북한의 미사일 문제와 납치자 문제 해결을 위한 협력을 요청받을 가능성이 커 문 대통령이 이에 어떻게 대응할지도 주요 관심사가 되고 있다.

중국'일본과의 정상회의를 마치고 나면 22일에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하고 북미 정상회담의 성공을 위해 깊이 있게 의견을 나눌 예정이다. 이번 한미 정상회담의 핵심은 북미 간 비핵화 방법론 이견을 어떻게 좁히느냐다.

윤영찬 청와대 국민소통수석도 4일 서면브리핑에서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의 방미를 두고 "한반도 비핵화 목표 달성을 위한 양국 간 긴밀한 공조방안 등의 조율을 마쳤다"며 "한미 정상이 관련 사항을 계속 협의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문 대통령이 주인공으로 참여하지는 않지만 한미 정상회담에 이어 열릴 북미 정상회담은 그동안 청와대가 주도해 온 비핵화 로드맵의 성패를 가를 마지막 시험대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이번 주를 시작으로 6월까지가 비핵화의 성패를 가를 중요한 분수령이 될 것"이라며 "문 대통령도 연휴 기간 일정을 비우고 틈틈이 참모의 보고를 받으면서 앞으로 구상을 정리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