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기업들, "근로시간 단축 영향 가장 큰 곳은 생산현장"

한국경제연구원 기업 112곳 대상 설문조사 결과

근로시간 단축 시행이 한 달도 채 남지 않은 가운데 대기업들은 가장 많이 애로를 겪을 부서로 생산현장인 공장을 꼽았다. 대책으로는 근로시간 유연화를 언급한 곳이 가장 많았다.

한국경제연구원은 오는 7월부터 근로시간을 단축해야하는 300인 이상 기업 112곳을 대상으로 제도 시행에 대해 설문조사를 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6일 밝혔다.

조사에 응답한 기업의 55.4%(62곳)는 근로시간 단축이 영업이익 등 전반적인 경영실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내다봤다. 별다른 영향이 없을 것이라는 응답은 25.0%, 긍정적 영향이 있을 것이라는 응답은 19.6%에 그쳤다.

근로시간 단축에 따른 애로사항(복수응답)으로는 '근로시간 단축으로 줄어든 임금에 대한 노조의 보전 요구'와 '생산성 향상 과정에서 노사 간 의견충돌'이라는 응답이 각각 35.7%로 가장 많았다.

이 외에 종업원 추가 고용에 따른 인건비 부담(29.5%), 계절적 요인 등 외부 수요 변화에 따른 생산조절 능력 저하(28.6%), 신제품 개발과 연구 개발 기능 저하(15.2%), 협력업체 납기 지연에 따른 생산 차질(19.7%) 등도 애로사항으로 꼽혔다.

근로시간 단축 영향이 가장 클 것으로 예상되는 부서(복수응답)는 72.3%(81곳)가 생산현장인 공장을 꼽았다. 그 다음으로 연구개발부서(22.3%), 영업부서(19.6%), 인사부서(13.4%) 순이었다.

기업들에 구체적인 대책을 물은 결과 인력 충원보다는 생산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근로방식을 개편하겠다는 응답이 많았다. 유연근무시간제를 실시하겠다는 곳이 54.2%로 가장 많았고 집중근로시간제를 실시하겠다는 응답도 43.4%였다.

제도적으로는 응답 기업 절반 이상이 탄력적 근로시간제 단위기간 연장(57.1%)을 꼽았다. 탄력적 근로시간제는 평소 근무시간으로는 불가능한 생산여건에 대비해 특정일의 근로시간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한 제도다.

탄력적 근로시간제 단위기간 연장 요구를 좀 더 세분화해보면 취업규칙에 따른 단위기간은 현행 2주일에서 3개월로 연장하자는 의견(64.1%)이 가장 많았고, 노사 서면합의에 따른 단위기간은 현행 3개월에서 1년으로 연장하자는 의견(75.0%)이 제일 많았다.

이에 대해 추광호 한경연 일자리전략실장은 "근로시간 단축에 대응해 기업들이 근로시간 유연화 등 생산성 향상에 주력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근로시간 단축이 연착륙하려면 노사가 협력하고 양보하면서 생산성 향상을 위해 매진해야 하고, 탄력적 근로시간제 단위기간을 선진국 수준으로 연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