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브라질 멕시코 16강전, 러시아 월드컵 '수비 후 역습' 트렌드 찾아볼 수 없는 경기될까?

브라질 대 멕시코 러시아 월드컵 16강전 2일 오후 11시. 네이버
브라질 대 멕시코 러시아 월드컵 16강전 2일 오후 11시. 네이버

브라질과 멕시코의 2일 오후 11시 2018 러시아 월드컵 16강전이 이번 대회 16강전 중 유독 튀는 경기가 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앞서 펼쳐진 프랑스 대 아르헨티나, 러시아 대 스페인, 크로아티아 대 덴마크의 경기가 탄탄한 수비를 펼친 뒤 역습을 꾀하는 팀이 유리한 구도로 펼쳐졌지만, 브라질과 멕시코는 지난 조별리그에서 그런 모습을 보여준 적이 없는 '닥공'(닥치고 공격)의 팀 컬러를 가진 팀들이어서다. 이는 그만큼 양팀이 수비가 내세울만한 수준은 아니라는 반증이기도 하다.

앞선 16강전에서는 프랑스와 러시아가 수비 후 역습 전술로 8강 진출에 성공했다. 크로아티아와 덴마크의 경기는 두 팀이 이 같은 전술을 함께 펼쳤고, 크로아티아가 승부차기 끝에 승리를 가져갔다.

수비 후 역습 전술, 즉 '늪 수비'라는 키워드로 요약할 수 있는 이 전술은 이번 러시아 월드컵의 트렌드로 굳어지는 모양새다. 이란, 모로코, 아이슬란드 등이 이 전술을 펼쳐 비록 16강 진출에는 실패했지만 강렬한 인상을 남겼다. 한국도 3차전 독일전에서 이 전술로 태세를 전환해 결국 2대0의 값진 승리를 따냈다. 우루과이는 강한 수비와 강한 공격을 모두 갖춰 승승장구하고 있다. 이 밖에도 여러 팀들이 수비에 비중을 두고 공격을 매만졌다. 스페인 정도만이 '티키타카'로 수식할 수 있는 완성도 높은 패싱 축구로 조별리그를 통과했지만, 이 역시 러시아에게 16강전에서 무마돼버렸다.

이 같은 흐름은 점유율이 높은 팀이 되려 패배해버리는 숫자의 역설을 낳고 있다. 물론 점유율이 체력을 더 소진하는지, 이에 맞서는 늪 수비가 체력을 더 소진하는지는 아직 답이 나와있지 않다. 그러나 후자의 경우가 승률을 높인다는 주장은 16강전을 계기로 '팩트'로 굳어지고 있다.

그럼에도 이 같은 흐름이 브라질 대 멕시코의 경기에는 크게 반영되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두 팀이 조별리그에서 그런 모습을 딱히 보여주지 않았을 뿐더러, 두 팀의 고유한 컬러 역시 그렇지 않아서다.

아무래도 공격력이 우세한 브라질이 더 많은 공격 기회를 가져갈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멕시코가 코파아메리카와 컨페더레이션스컵 등에서 브라질을 상대로 심심치 않게 승리를 거둔 전적을 바탕으로 이변을 연출할 수도 있다. 두 팀 모두 수비가 수준급은 아니라서, 결과는 알 수 없다는 평가다. 이번 대회에서 수비 실수도 유독 잦게 나오고 있는 점도 브라질과 멕시코의 실수 관리 중요성에 일침을 가하는 사실이다.

브라질과 멕시코의 상대 전적은 23승 7무 10패로 브라질이 우위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