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한국 의사수 OECD '최하', 외래진료 횟수는 '최고'

의사 인구 1천명당 2.3명, 입원일수·병상수·의료장비 OECD 훨씬 웃돌아
항생제 많이 쓰고 항우울제 적게 쓰고…의료비 증가율 '최고'

우리나라 의사는 인구 1천명당 2.3명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가장 적고, 국민 1인당 외래진료 횟수는 한해 17회로 OECD에서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연합뉴스
우리나라 의사는 인구 1천명당 2.3명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가장 적고, 국민 1인당 외래진료 횟수는 한해 17회로 OECD에서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연합뉴스

우리나라 의사는 인구 1천명당 2.3명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가장 적고, 국민 1인당 외래진료 횟수는 한해 17회로 OECD에서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보건복지부는 OECD가 발간한 '보건통계(Health Statistics) 2018'의 주요 내용을 분석해 12일 발표했다. 올해 OECD 보건통계는 주로 2016년 수치를 기준으로 회원국의 보건의료 수준을 비교한 것이다.

한의사를 포함한 우리나라의 임상의사는 인구 1천명당 2.3명으로 OECD 국가 중 가장 적었다. OECD 평균은 3.3명이었고 미국 2.6명, 프랑스 3.1명, 노르웨이 4.5명, 오스트리아 5.1명 등이었다.

의대 졸업자 수도 인구 10만명당 7.9명으로 OECD 평균 12.1명에 훨씬 못 미치고 아일랜드(24.4명), 덴마크(22.1명) 등과 비교할 때 3분의 1 수준에 불과했다.

간호조무사를 포함한 임상간호사도 인구 1천명당 6.8명으로 OECD 평균 9.5명보다 2.7명 적었다.

국민 1인당 의사에게 외래진료를 받은 횟수는 연간 17.0회로 OECD 1위였다. 이는 회원국 평균 7.4회보다 2.3배나 높은 수준이다.

우리나라 환자 1인당 평균 입원일수는 18.1일로 일본(28.5일) 다음으로 길었다.

일본과 우리나라를 제외한 모든 회원국의 재원일수는 10일 미만에 불과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