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소비자 문제 관련 빈발민원 해결을 위해 뭉쳤다"

유관기관 거버넌스 체계 구축해 해결 나설 방침

소비자들의 빈발민원 해결을 위해 행정기관과 소비자단체,관련 학계가 머리를 맞댔다.

경상북도가 주최하고 (사)경북소비자공익네트워크 주관하는 2018년 빈발민원 과제 발굴 유관기관 간담회가 13일 매일유업 경산공장에서 열렸다. 이날 간담회에는 경상북도 사회적경제과,공정거래위원회 대구사무소,한국소비자원 대구지원, (사)경북소비자공익네트워크, (사)소비자교육중앙회 경상북도지부, 녹색소비자연대 등 소비자단체와 소비자 관련 학계 관계자 등이 참석해 빈발민원 과제 발굴을 위한 논의를 했다.

경북도 등 행정기관과 소비자 관련 단체,학계 관계자들이 13일 소비자 빈발민원 과제 발굴을 위한 유관기관 간담회를 열었다. 경북소비자공익네트워크 제공
경북도 등 행정기관과 소비자 관련 단체,학계 관계자들이 13일 소비자 빈발민원 과제 발굴을 위한 유관기관 간담회를 열었다. 경북소비자공익네트워크 제공

지난해 경상북도 소비자가 1372소비자상담센터에 접수한 상담은 총 2만7천146건으로 전체 소비자상담의 3.4%를 차지하고, 이는 2016년 대비 7.7% 증가했다. 특히 60대 이상 상담 건수는 전국적으로 전년 대비 80.6% 증가했고, 경상북도민의 경우도 150.7%증가해 60대 이상의 상담 건수가 계속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연령대의 상담건은 전체 상담건 대비 8.5%(전국)와 4.2%(경북)을 차지하고 있다.

채움 커리어인 김연희 대표는 "경상북도의 경우 노인 인구 비중이 높고 이들을 대상으로 한 피해가 증가하고 있는 만큼 찾아가는 예방 교육 등 과거와는 다른 차원의 접근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사)소비자교육중앙회 경상북도지부 박영숙 사무국장은 "피해 사례 중심, 경로당 중심의 교육이 필요하다"고 했고, 포항녹색소비자연대 장평조 국장은 "계약과 약관에 대한 교육이 밑바탕에 깔려야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주문했다.

전자상거래 활성화에 따른 해외 직구와 관련한 배송지연과 환불거부, 수수료 등 소비자 피해 문제도 논의됐다.

(사)경북소비자공익네트워크 신경순 회장은 "한국소비자보호원이 2017년 온라인 해외 구매관련 소비자 불만을 분석한 결과 총 1만5천118건이 접수돼 전년 대비 53.8%증가했다. 해외구매의 규모가 커짐에 따라 소비자 피해 및 문제 또한 비례하여 증가하고 있으므로 피해방지를 위한 소비자 교육과 홍보캠페인 등 등 대책마련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