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는 현재 경북도청 이전터에 대한 향후 개발계획에 대해 말을 아끼고 있다. 정부 예산 확보가 우선이라는 것이 시의 입장이다. 2020년까지 총사업비 2천252억원의 국비를 확보하기 위해 당장은 기재부·문체부는 물론 국회 설득에 주력하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시는 지난해 4월 문체부가 발표한 '도청 후적지 활용방안 연구용역안'을 바탕으로 조만간 문체부와 공동으로 '기본계획수립 및 타당성 조사검토 용역'을 추진한다는 계획안만 세워놨다.
당시 문체부는 도청 이전터를 '문화·기술·경제융합형 도시 혁신지구'로 조성할 것을 제시했다. 창조·혁신·젊음을 발산하는 미래 대구시의 문화중심지로 만들자는 이 아이디어는 문재인 대통령의 '문화·행정·경제 복합공간으로 조성해 시민에게 돌려주겠다'는 대선 공약으로도 채택됐다.
그러나 시 안팎에서는 도청이 옮겨간 지 2년이 지났지만 대구시가 여태 개발방향을 잡지 않고 있는 것은 신청사 건립과 연관된 것이라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시청 신청사를 도청 이전터에 건립하고 싶은 것이 시의 속내여서, 신청사 건립부지가 확정된 시점에 개발그림을 그려도 늦지 않기 때문이다.
권영진 시장은 최근 기자 회견에서 "이르면 내년 상반기, 늦어도 내년 말까지는 시민 공론화 과정을 거쳐 신청사 건립 부지를 확정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대구시 관계자는 "정부가 경북도청 이전터 매입을 완료하는 2021년부터 개발에 착수, 2025년쯤 완성한다는 마스터플랜을 짜고 있다. 도청 이전터는 대구의 랜드마크가 될만한 문화·행정·경제 복합공간으로 조성될 수 있도록 정부와 협력해 사업추진할 방침"이라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