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2분기 한국 경제가 전분기 대비 0.6% 성장하고 국민총소득(GNI)은 1.0% 감소했다.
7월 발표된 속보치보다 성장률이 0.1%포인트 낮아졌다. 설비·건설투자가 모두 역성장했다.
정부와 한은의 올해 목표치(2.9%)를 달성하려면 3·4분기에 평균 약 0.9%대 성장을 해야 한다. 다만 1인당 명목 GNI 3만달러 달성은 무난해 보인다.
한국은행이 4일 발표한 '2018년 2분기 국민소득(잠정)'을 보면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397조9천592억원(계절조정계열)으로, 전 분기보다 0.6% 증가했다.
분기별 GDP 성장률은 작년 4분기 -0.2%에서 올해 1분기 1.0%로 뛰었으나 2분기에 다시 내려갔다.
성장률은 7월 발표된 2분기 속보치(0.7%)보다도 0.1%포인트 낮아졌다.
설비투자 증가율이 속보치보다 0.9%포인트 올라갔으나 건설투자(-0.8%포인트), 수출(-0.4%포인트), 수입(-0.4%포인트) 등이 줄줄이 하향 조정됐다.
2분기와 상반기 전체 전년 동기 대비 성장률은 2.8%다.
정부와 한은의 올해 연간 성장률 전망치(2.9%) 달성에 노란불이 켜진 것이다.
앞으로 3분기와 4분기 평균 성장률이 전기 대비 0.91∼1.03%가 돼야 달성할 수 있다.
한은이 10월 수정경제전망에서 성장률 전망치를 하향 조정할 가능성도 올라갔다. 이렇게 되면 10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 인상 기대에 힘이 빠질 수 있다.
업종별로는 제조업 증가율이 1분기 1.6%에서 2분기 0.6%로 뚝 떨어졌고 건설업은 2.1%에서 -3.1%로 마이너스 전환했다. 건설업 증가율은 2012년 1분기 이래 최저다.
서비스업 증가율도 1분기 1.1%에서 2분기 0.5%로 반토막이 났다. 부동산 개발·공급이 줄며 부동산 및 임대업이 2.6% 성장에서 -0.7%로 뒷걸음질친 탓이 컸다.
반면 도소매 및 음식숙박업 증가율은 -0.8%에서 0.8%로 반등했다.
2분기 실질 GNI(계절조정기준)는 전 분기보다 1.0% 감소했다. GNI는 한 나라 국민이 일정 기간 국내외에서 벌어들인 임금, 이자, 배당 소득 등을 합친 지표다.






 
         
    
    















 
                     
                     
                     
                     
                    












 
             
            









댓글 많은 뉴스
김민웅 "北, 세계정세의 게임 체인저"…주진우 "金, 보수 살릴 게임 체인저"
이진숙 "머리 감을 시간도 없다던 최민희…헤어스타일리스트 뺨칠 실력"
"이재명의 승리" "역사적 업적"…관세협상 타결에 與 칭찬세례
한미 관세 협상 타결…현금 2천억+마스가 1500억달러
美와 말다르다? 대통령실 "팩트시트에 반도체 반영…문서 정리되면 논란 없을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