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간 '평양 공동선언'이 채택되기가 무섭게 북·미 대화가 속도를 내고 있다. 한미 관계자들에 따르면 '10월 2차 북-미 정상회담'과 '연내 한국전쟁 종전선언'의 실현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미국은 19일(현지시간) 평양에서 열린 제3차 남북정상회담의 성공을 축하하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첫 임기(2021년 1월) 내 비핵화 완성을 목표로 북미 간 근본적 관계 전환을 위한 협상에 즉시 착수하겠다고 밝혔다.
북미협상을 총괄해 온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은 이날 성명을 통해 3차 남북정상회담의 성과를 인정하며 북미 협상 개시를 공식화했다.
폼페이오 장관은 "우리는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이 미국과 국제원자력기구 (IAEA) 사찰단의 참관 아래 영변의 모든 시설을 영구히 해체하는 것을 포함,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에 대한 싱가포르 공동성명을 재확인한 것을 환영한다"고 말했다.
폼페이오 장관은 다음 주 뉴욕 유엔총회에서 리용호 북한 외무상이 만나고, 스티븐 비건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와 북한의 오스트리아 빈 채널이 "가장 빠른 기회에" 가동된다.
북미 간 대화 국면 급전환과 맞물려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 간 2차 북미정상회담 개최 문제도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20일 기자들과 만나 김 위원장과 곧 만날 것이냐는 질문에 "우리는 그럴 것(We will be)"이라고 밝혔다.
미국이 북한과 대화 재개를 선언한 또 다른 이유로는 남북정상회담에서 김 위원장이 육성으로 비핵화 의지를 밝히고, 조건부지만 영변 핵시설 폐기 의사까지 밝힌 결단의 진정성을 평가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를 두고 평양 공동선언에 담기지 않은 비핵화와 관련된 '플러스알파'가 미국에 전달된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폼페이오 장관은 "영변의 모든 (핵)시설 해체에 미국과 국제원자력기구사찰단 참관이라는 언급은 평양 공동선언에는 없는 내용"이라고 말했고,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도 브리핑을 통해 "(남북 정상 간에) 공동선언 내용 외에도 많은 논의가 있었다"고 했다.
향후 북핵 협상은 25일 뉴욕 유엔총회 기간 도중 열릴 한미 정상회담, 북미 외교장관 회동, 그 앞뒤로 예상되는 오스트리아 실무 회담 등을 통해 진행되고, 그 성과에 따라 2차 북미 정상회담과 종전선언 연내 서명 등의 윤곽도 잡힐 것으로 보인다.
북미 정상회담 시기는 11월 미국 중간선거(상·하원 의원 및 주지사 등 선출) 전에 치르고 싶어하는 트럼프 대통령의 정치적 욕구가 있는 만큼 선거 전인 10월이 될 가능성이 큰 상황이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