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값이 내려가면 경북의 가계부채 부실위험이 전국적으로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시장이 냉각할 때 가계부채 취약성이 가장 두드러질 수 있는 지역으로 경북이 꼽힌 셈이다.
현대경제연구원 오준범 선임연구원과 신유란 연구원은 4일 한국조세재정연구원의 2016년 재정패널을 바탕으로 '지역별 가계 재무건전성 현황 및 시사점'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추정했다.
이에 따르면 부동산 가격이 5%포인트 하락할 때를 가정해보면 전국 가계의 자산 대비 부채비율(DTA)은 31.3%에서 32.6%로 1.3%포인트 상승한다.
경북의 DTA 오름세가 +1.8%포인트로 가장 컸고, 인천(+1.6%포인트), 경기(+1.5%포인트), 울산(+1.4%포인트), 대구(+1.4%포인트), 충남(+1.4%포인트)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가장 취약한 곳은 경북이었다. 경북의 DTA는 현재 39.1%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부동산 가격이 하락하면 DTA가 40.9%로 치솟으며 전국에서 유일하게 40%를 넘는 것으로 분석됐다.
한편 대출 금리가 2016년보다 1%포인트 상승하면 전국 가계의 평균 총부채 원리금 상환비율(DSR)은 13.3%에서 14.4%로 오르는 것으로 분석됐다.
그중에서도 경북(+1.7%포인트), 인천(+1.6%포인트), 대구(+1.3%포인트), 경기(+1.2%포인트), 전남(+1.2%포인트) 순으로 상승 폭이 컸다.
하지만 대구경북, 인천은 현재 DSR이 전국 평균보다 낮았다.
반면 전남은 현재 DSR이 35.4%로 전국에서 가장 높은 데다 금리 상승 때에는 36.6%로 확대해 부실위험이 커지는 것으로 파악됐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위안부 합의 뒤집으면 안 돼…일본 매우 중요"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