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 시대, 100세 시대입니다.평균 연령이 높아지면서 건강이 중요해졌습니다.스마트폰 사용자 수가 많아지고,미세먼지,황사 등으로 공기도 안 좋아지면서, 눈 건강이 나빠지는 경우가늘어나고 있습니다. 50세 이상이라면, 특히, 황반변성을 주의하여야 합니다.중심 시력을 담당하는 황반에 변성이, 생긴 질환으로, 심해질 경우 실명에까지 이를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럼 황반은 어디일까요?눈의 안쪽을 살펴보면, 카메라의 필름에 해당하는망막이란 곳이 있는데이 망막 한 가운데에 황반이 위치하고 있습니다.이 황반은 우리가 사물을 볼 때 초점이 맺히는 곳으로, 눈에서 시력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부분입니다.
이곳 망막의 황반구역에 있는 세포가, 변성 및 퇴화되어, 시력이 떨어지는 질환이 바로 황반변성입니다.황반변성의 종류에는 여러 질환이 포함되어 있습니다.그 중에서, 나이관련 황반변성이 가장 심각한 질환입니다.그 외에 근시로 인한 변성근시 황반변성,아무런 이유없이 발생하는 특발성 황반변성 등이 있습니다.엄밀히 말하면 황반변성은 아니지만 황반에 생기는 구멍인 황반원공,중심성망막염,망막전막 등도 황반변성에 포함시키기도 합니다.
간혹 황반원공이나 망막전막으로 진단된 분들이, 나이관련황반변성으로 착각하시고 실명되는 것 아니냐며 걱정하시며, 병원을 찾아오시는데,황반원공이나 망막전막은 수술로 치료할 수 있는 병이기 때문에, 나이관련황반변성 만큼 염려할 질환은 아닙니다.
이러한 황반변성은 어떤 증상이 나타날까요?원래는 대구타워와 같은 물체가 똑바른 모양인데 휘어져 보이거나 중간부분이 안보이면 반드시 안과 검사가 필요합니다.또한 책이나 글씨를 볼 때 보려고 하는 부분이 안보이면 황반변성을 의심해 보아야 합니다.황반변성이 있다면 어떤 불편감이 있을까요? 쇼핑이나 돈세기 가사노동 전화사용 식사 준비 등 일상생활에서 일반인에 비하여 경험하는 어려움이 거의 8배에 달합니다.
이러한황반변성은 안과에 오면 몇가지 검사를 통해 손쉽게 진단할 수 있습니다.
바둑판 같은 암슬러 격자 무늬를 한눈씩 가리고 보면 일반인들은 격자무늬가 올바르게 보이지만 황반변성이 있으면 찌그러져 보이거나 안보이는 부분이 생깁니다.눈 OCT 라고 하는 빛간섭단층촬영검사에서 불룩하게 나오거나혈관조영검사에서 하얗게 조영제가 침착되어 나오기도 합니다.
황반변성 중 나이관련 황반변성은 수술로 치료할 수 없으나 같은 부위에 생기고 같은 증상이 나타나는 망막전막이나 황반원공은 유리체절제술이라는 수술로 치료할 수 있습니다.요즘에는 수술장비와 술기의 발달로 무봉합소절개유리체절제술이 가능하고 당일수술 후 퇴원이 가능하며 수술 후 흉터도 거의 남지 않습니다.특히 황반원공은 수술하면 원래의 시력을 찾지만 수술하지 않으면 실명에 이를 수 있기 때문에 찌그러져 보이거나 안보이는 부분이 있다면 안과 검사 후 치료를 꼭 받으시길 바랍니다.
도움말:대구 잘보는안과 김진선 원장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