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포항지진 피해로 전파 판정받은 공동주택 재개발 사업 난항

포항시, 직접 공동주택 매입해 도심재생 거점 활용 방안 구상 중

12일 포항시 북구 흥해읍 대성아파트 E동의 모습. 1년 전과 다름없이 건물이 기울진 채 방치돼 있다. 우태욱 기자 woo@msnet.co.kr
12일 포항시 북구 흥해읍 대성아파트 E동의 모습. 1년 전과 다름없이 건물이 기울진 채 방치돼 있다. 우태욱 기자 woo@msnet.co.kr

11·15 포항지진으로 전파 판정을 받은 공동주택 5곳에 대한 재개발 사업이 난항을 겪고 있다.

13일 포항시에 따르면 지진 피해 안전진단에서 전파 판정을 받은 대성아파트와 경림뉴소망, 대웅파크 1·2차, 해원빌라 등 5개 건물에 대해 지난 5월부터 7월까지 재개발 사업성 분석을 용역 의뢰한 결과 주민이 1억2천만~1억6천만원을 내면 사업 추진이 가능할 것으로 나타났다. 이 금액은 지역 건설사 원가 시공, 각종 부담금 감면, 철거비 지원 등을 반영한 수치다.

재개발사업 조합이 구성되는 과정에서 주민 20%가 빠져나간다고 가정했을 때는 분담금이 10% 정도 상승한다.

이 결과를 두고 대다수 주민들은 '분담금이 너무 많다'며 반발하고 있다. 주민 A(55) 씨는 "지진에 집을 잃은 것도 억울한데, 재개발 분담금을 1억원 이상을 내야 한다니 속이 터진다"며 "그 정도 낼 형편이 되는 주민이 별로 없다. 가능한 방안이 아니다"고 주장했다.

반대로 건설업체들이 '분담금이 적다'는 이유로 참여를 꺼리고 있다는 것도 문제다. 전파 공동주택 5곳 중 경림뉴소망에 대해 LH(한국토지주택공사)가 참여 의사를 밝히기도 했지만 주민분담금을 1억6천만원(20% 청산 기준)으로 책정, 사업 추진에 진척이 없는 상태다. 90가구가 사는 경림뉴소망의 경우 사업성 용역 결과에서 주민분담금은 1억2천만원(20% 청산 시 1억4천만원)으로 계산됐다.

사정이 이렇자 포항시는 직접 공동주택을 매입하는 방안을 구상하고 있다. 그러나 이 역시 감정가격이 현실과 차이가 날 경우 주민 반대에 부딪힐 가능성이 큰 상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