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학교 주변에는 평균 7곳의 담배소매점이 있고, 주변에 담배소매점이 많은 학교의 청소년일수록 흡연 경험이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22일 한국건강증진개발원 국가금연지원센터가 발표한 2018년 교육환경보호구역 내 담배소매점 모니터링 결과에 따르면, 작년 말 기준으로 전국의 담배소매점은 17만8천275곳이다.
이 가운데 학교 주변 200m 이내 지역인 '교육환경보호구역' 내 담배소매점은 5만7천35곳이다. 소매점의 32%가 교육환경보호구역 내에 있는 것이다.
국가금연지원센터가 지난 9월부터 한 달간 서울시 초·중·고교 교육환경 보호구역 내 담배소매점을 조사한 결과, 학교 주변에는 평균 7곳의 소매점이 있었다.
담배는 편의점에서 가장 많이 팔리고 있지만, 청소년이 자유롭게 이용하는 문구점, 서점, 마트, 세탁소 등에서도 판매되고 있었고, 가장 많게는 학교 주변에 27곳이나 있었다.
소매점의 98.4%는 담배를 진열하고 있었고, 진열 위치는 대부분 계산대 주변이었다. 30%는 경고그림이 보이지 않도록 담뱃갑을 뒤집어 진열했다.
편의점당 담배광고 수도 2016년 20.8개, 2017년 25개, 올해 33.9개로 지속해서 증가했고, 이중 궐련형 전자담배 광고는 평균 4.5개였다.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담배광고 노출이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담배소매점이 학교 주변에 많을수록 학생의 흡연 경험도 많았다.
'지금까지 담배를 한두 모금이라도 피워본 적이 있느냐'라는 질문에 학교 주변 소매점 수가 평균 이하인 그룹에서는 14.0%만이 '그렇다'고 대답했으나, 평균 그룹에서는 26.0%, 평균 이상 그룹에서는 41.3%가 응답했다.
'담배광고를 본 뒤 담배가 궁금하거나 피우고 싶은 욕구를 느낀 적이 있느냐'는 질문에 '그렇다'고 답한 비율은 평균 이하 6.4%, 평균 12.5%, 평균 이상 18.9%였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