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국제사회에 파문을 일으킨 사우디아라비아의 반체제 언론인 자말 카슈끄지 암살 사태 여파가 사우디의 원자력발전소 건설사업에까지 미칠 수 있을까.
뉴욕타임스(NYT)는 사우디 정부가 추진하는 원전 건설사업 수주를 놓고 미국, 한국, 중국 등이 각축전을 벌이는 가운데 사우디가 원전을 핵개발에 전용할 수 있다는 우려가 이번 카슈끄지 사태로 더욱 커지고 있다고 2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NYT는 미 정보기관들은 이번 카슈끄지 사태 이전부터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 왕세자를 둘러싼 또 다른 미스터리, 즉 왕세자가 원전을 통해 핵개발의 토대를 놓으려 하는 것은 아닌지 알아내려 했다며 이같이 전했다.
최근 미 중앙정보국(CIA)이 카슈끄지 암살 사태의 배후로 지목한 것으로 알려진 빈 살만 왕세자는 현재 미국이 사우디 정부와 진행 중인 원전 수주 협상도 감독하고 있다.
사우디 원전건설 사업은 사우디가 총 몇 기의 원전을 도입하느냐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사업 규모는 800여억 달러(약 90조3천억원)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NYT는 협상 내용을 잘 아는 미국과 사우디 관리들을 인용, 사우디 정부는 핵연료를 외국에서 훨씬 싼 비용에 들여올 수 있음에도 자체 생산을 계속 주장하고 있으며, 이는 사우디가 핵연료를 무기 제조 프로젝트에 전용할 수 있다는 미국 내 우려를 키우고 있다고 전했다.
실제 빈 살만 왕세자는 이미 올해 초 미 CBS방송 인터뷰에서 이란이 핵무기를 개발하면 사우디도 "가능한 한 빨리" 그렇게 할 것이라고 밝혀 우려를 자아낸 바 있다.
원전 수주 협상 과정에서도 사우디 측은 트럼프 정부에 '핵무기 제조 의혹을 확인하기 위해 유엔 사찰단의 사찰을 허용하는 내용이 들어간다면 협정에 서명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고 NYT는 미 정부 관계자들을 인용해 전했다.
여기에 최근 카슈끄지 사태까지 겹치면서, 살해 전말을 놓고 계속 말 바꾸기를 해온 사우디 정부가 핵 문제에서도 과연 신뢰를 지킬 수 있을지 의구심이 더욱 커지는 상황이라고 NYT는 지적했다.
이에 따라 민주당의 브래드 셔먼(캘리포니아) 하원 의원 주도로 트럼프 행정부가 사우디와 원자력 협정을 쉽게 체결하지 못하도록 법안 수정을 추진하는 등 의회에서 제동을 걸려는 움직임도 나타나고 있다.
셔먼 의원은 "사우디에 비행기를 파는 것과 핵을 파는 것은 다른 문제"라면서 "뼈를 절단하는 톱(카슈끄지가 토막 살해된 것을 지칭)과 관련해서도 신뢰할 수 없는 나라를 어떻게 핵무기와 관련해 신뢰할 수 있겠느냐"고 말했다.
미 정부는 사우디와 진행 중인 원전 협상 내용에 관해서는 공식적인 언급을 하지 않고 있다.
하지만 미 정부 관계자들은 사적으로 '만약 미국이 사우디에 원전을 팔지 않는다면 다른 나라, 즉 러시아나 중국, 한국이 팔 것'이라는 주장을 펴고 있다고 NYT는 전했다.































댓글 많은 뉴스
'갭투자 논란' 이상경 국토차관 "배우자가 집 구매…국민 눈높이 못 미쳐 죄송"
"이재명 싱가포르 비자금 1조" 전한길 주장에 박지원 "보수 대통령들은 천문학적 비자금, DJ·盧·文·李는 없어"
"아로마 감정오일로 힐링하세요!" 영주여고 학생 대상 힐링 테라피 프로그램 운영
'금의환향' 대구 찾는 李대통령…TK 현안 해법 '선물' 푸나
"이재명 성남시장 방 옆 김현지 큰 개인 방" 발언에 김지호 민주당 대변인 "허위사실 강력규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