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야고부] 지명 전쟁

서종철 논설위원
서종철 논설위원

지명은 식별 기호다. 요즘에는 고유 브랜드나 부가가치 높은 정보와 동일시하는 인식이 커지면서 지명에 대한 인식도 달라지는 추세다. 단순히 정보 전달 차원이 아니라 지명을 통한 '아이덴티티'(정체성) 고도화나 차별화 전략으로 진화하는 것이다.

전국 지방자치단체마다 '이름 바꾸기'에 열을 올리는 것도 이런 배경에서다. 지명 변경은 자치사무다. 결격 사유가 없는 한 조례를 만들고 시행하면 된다. 지명 변경에 따른 수십억원의 행정 비용만 감당하면 더 큰 부가가치와 이미지 개선 등을 노려볼 수 있다는 점에서 기초 지자체들이 발 빠르게 움직인다.

2007년 강원 평창군 도암면이 대관령면으로 바뀐 것을 시작으로 영월군 하동면이 김삿갓면, 영월군 서면은 한반도면으로 지명 개칭이 줄을 이었다. 최근 지역 지자체도 이 흐름에 합류했다. 2015년 고령읍이 대가야읍으로, 울진군 서면이 금강송면, 원남면이 매화면으로 각각 현판을 바꿔 달았다. 올 7월 인천시 남구가 미추홀구로 바꿔 광역시 자치구로는 첫 사례다.

하지만 지명 개편이 모두 가능한 것은 아니다. 2012년 영주시 단산면이 추진한 '소백산면' 변경이 대표적인 사례다. 당시 충북 단양군이 '고유명사 독점'을 이유로 제동을 걸면서 대법원 판결까지 4년여를 끌다가 끝내 무산됐다. 강원 양양군 서면의 대청봉면 추진도 사정은 같다. 전남 담양군 남면의 경우 '가사문학면'으로 바꾸는 것을 놓고 내부 불만이 쏟아지면서 주춤한 상태다.

그제 청송군 부동면의 '주왕산면' 개칭에 관한 주민 투표에서 98.9%의 찬성 결과가 나왔다. 조례 개정 절차를 거치면 부동면은 주왕산면으로 다시 태어난다. 1914년 일제가 청송도호부(현 청송읍) 동쪽에 있다는 이유로 부동면으로 바꾼 지 100여 년 만이다.

아직도 동서남북 방위에 기초한 일본식 지명이 수두룩하다. 1946년 행정지명 개편 당시 그 흔적이 남은 데다 1963년 시행된 분구(分區) 체제에도 이런 방식이 그대로 이어졌다. 지명 변경에 따른 혼란만 줄인다면 언제든 지명도 바꿀 수 있다. 우리 삶의 터전인 이 땅의 정주 여건 등 경쟁력을 더 높인다면 더 바랄 게 없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