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질 나빠지는 숙박음식 대출…비은행 비중 30% 육박 '최고'

고금리·변동금리 높아…"금리 상승에 취약 우려"

서울 시내 한 은행의 대출 상담 창구 모습. 연합뉴스
서울 시내 한 은행의 대출 상담 창구 모습. 연합뉴스

숙박·음식점업 대출 중 제2금융권 비중이 30% 문턱까지 불어나며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고금리·변동금리가 많은 제2금융권 대출 비중이 높으면 금리 인상으로 인한 숙박·음식점 업주들의 부채 부담이 급격히 커질 수 있어 우려스러운 상황이다.

7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해 3분기 숙박·음식점업 대출 잔액은 54조5천585억원으로 1년 전보다 10.5%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그중 상호저축은행, 상호금융, 신용협동조합, 새마을금고 등 비은행 예금 취급기관의 숙박·음식점업 대출이 16조3천339억원으로 20.4% 늘었다. 비은행에서 증가 속도가 더 가파른 상황이다.

전체 숙박·음식점업 대출 중 비은행이 차지하는 비중은 29.9%로 전 분기보다 0.6%포인트 상승했다. 3분기 비은행 대출 비중은 한은이 관련 통계를 작성한 2008년 1분기 이래 최고 수치다. 2015년 3분기(20.8%)와 비교하면 3년 새 무려 10%포인트 가까이 상승했다.

비은행 숙박·음식점업 대출은 2014년 3분기부터 전년 동기 대비로 계속해서 두 자릿수 증가율을 유지하고 있다. 특히 예금은행의 숙박·음식점업 대출 증가가 둔화한 2016년 중반 이후 비은행 대출이 폭증한 점으로 미뤄 숙박·음식점업 대출이 은행에서 비은행으로 밀려난 것 아니냐는 분석이다.

문제는 앞으로 금리가 상승 압박이 계속되면서, 숙박·음식점업 대출자들의 이자 부담이 커질 수 있다는 점이다. 한은이 지난달 기준금리를 1.75%로 0.25%포인트 올리고 미국도 정책금리를 올릴 것으로 보여 대출 금리 상승 압력도 커지고 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