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美금리인상, 원자재 수출국에 큰 영향…한국에는 충격 미미"

한은 보고서…고정환율제 택한 사우디·베네수엘라 변동성 특히 확대

미국 워싱턴DC의 미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Fed·연준)에서 지난 9월26일(현지시간)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기자회견 중 입을 다문 모습. 오는 18∼19일 열리는 연준 공개시장위원회 회의에서는 올해 4번째 기준금리 인상 결정과 함께 내년 통화정책에 대한 윤곽이 나올 것으로 예상돼 관심을 집중시키고 있다. 연합뉴스
미국 워싱턴DC의 미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Fed·연준)에서 지난 9월26일(현지시간)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기자회견 중 입을 다문 모습. 오는 18∼19일 열리는 연준 공개시장위원회 회의에서는 올해 4번째 기준금리 인상 결정과 함께 내년 통화정책에 대한 윤곽이 나올 것으로 예상돼 관심을 집중시키고 있다. 연합뉴스

미국 금리 인상과 같은 통화정책 변화가 원자재 수출국의 소비, 생산, 투자 등에 변동성을 키우지만 한국과 같은 원자재 수입국에는 충격이 크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

김명현 한국은행 경제연구실 부연구위원은 17일 발표한 '미국의 통화정책이 원자재 수출국과 수입국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서 "미국의 통화정책 변화는 원자재 수입국보다 수출국에, 변동환율제보다 고정환율제 국가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고 밝혔다. 한국은 변동환율제를 체택하고 있는 원자재 수입국으로, 상대적으로 미국 통화정책의 영향이 크지 않다는 것이다.

미국 등 주요선진국의 통화정책은 국제 원자재 가격 변동을 통해 다른 국가의 거시경제 상황에 영향을 미친다. 한은은 국가의 원자재 수출 혹은 수입 여부에 따라 미국의 통화정책 변화가 주는 영향에 차이가 있는지 실증분석 및 시뮬레이션을 통해 연구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이 금리를 인상하면 미국의 총수요가 감소해 원자재 수입 수요가 줄고 그에 따라 국제 원자재 가격이 하락한다. 이 때문에 원자재 수출국의 수출이 수입국보다 더 큰 폭으로 감소하면서 수출국의 생산도 수입국보다 더 감소한다. 반대로 미국이 금리를 인하한 경우에도 같은 경로를 거쳐 원자재 수입국보다 수출국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됐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