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경북개발공사 잇따른 잡음, 이대로 둬서 될 일인가

경북도가 최근 경상북도개발공사에 대한 특별 감사를 마치고 후속 조치를 준비 중이다. 감사의 배경은 경북도청 신도시 조성 때 지역기업 물품 대신 굳이 다른 곳 자재를 쓴 데 따른 업계 불만이었다. 특히 자재 변경 결정의 책임자가 당시 공사에 근무하던 현재 공사 상임감사라는 점에서 부적정한 업무처리 의혹이 불거진 것이다.

경북도개공은 경북도의 뭇 사업을 하지만 제대로 감시가 안 돼 잡음이 끊이지 않는다. 지난 8월에는 16억원으로 도청 신도시 한옥단지에 지은 견본주택을 도청 간부 등의 숙박용으로 내줘 말썽이었다. 또 도청 신도시 1차 사업 종료와 2020년 끝나는 유교문화사업 등 큰 공사가 마무리 됐음에도 공사 정원을 108명에서 되레 135명으로 늘려 도의회의 질타를 받았다. 지난해 부당한 계약 문제로 감사원 감사를 받았다.

문제는 이런 내부의 잘못된 경영 관행과 부당한 업무 등을 다루려 경북도가 올해 3월 상임감사제를 도입했지만 기능이 의문스럽다는 점이다. 공채한 첫 상임감사조차 내정설이 나돈 인물로 처음부터 적임 논란을 빚었다. 이번에 다시 논란의 중심에 섰으니 상임감사를 통한 경영의 감시와 견제의 기대는 한낱 희망일 뿐이다.

상황이 이러하니 공사의 투명성과 청렴은 멀기만 하다. 신도청 한옥 말썽 뒤 상임감사가 청렴을 특강하고, 감사와 공사 임직원들이 청렴실천 결의문 낭독 행사도 가졌지만 정부 평가는 참담한 수준이다. 2014·2015년 꼴찌(5등급)에서 2016년 3등급에 올랐다가 2017년 4등급, 올해 5등급으로 다시 추락했다. 경북도개공의 청렴도 현주소는 초라하기 짝이 없다.

경북도가 이번 특별감사를 바탕으로 할 일은 분명하다. 인적 쇄신이다. 이는 그냥 묻어 두거나 대충 끝낼 성격이 아니다. 필요하면 이런 낮은 청렴도의 공사를 수사토록 해 의혹스러운 부분의 깊게 썩은 뿌리는 잘라야 한다. 방치하면 기둥 전체로 번질 수밖에 없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