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차 북미정상회담이 합의에 이르지 못하고 결렬됐지만, 북한은 1일 이를 전혀 언급하지 않은 채 회담의 긍정적인 측면만 앞세워 전했다.
대외적으로는 미국과 대화를 계속할 의지를 내보이는 한편, 안으로는 회담 실패에 따라 자칫 명분이 약해질 수 있는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비핵화 노선에 대해 주민들의 결속을 다지려는 의미로 풀이된다.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이날 전체 6개 면 중 1∼2면에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간 정상회담 사진 13장을 싣고 베트남 하노이에서 전날 진행된 회담에 대해 상세히 보도했다. 전날 1∼2면에 총 17장의 회담 사진을 싣고 밝고 긍정적인 분위기 중심의 사진들로 편집해 보도한 것과 크게 다르지 않다.
이날 신문도 대부분이 두 정상의 회담 사진으로 채워졌다. 1면에는 전날 진행된 북미 단독정상회담 사진 4장이 실렸는데, 두 정상이 악수로 첫 인사를 나누는 장면부터 원탁 회담을 하는 장면까지 시종일관 미소를 띤 모습들로 채워졌다.
이어지는 2면에는 김 위원장과 트럼프 대통령이 단독회담 직후 회담장인 하노이 메트로폴 호텔에서 4분간 진행한 정원 산책 모습과 곧이어 진행된 확대회담 등 사진 9장이 실렸다. 대부분 김 위원장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산책 중 마주 보기도 하고 손동작을 하기도 하며 적극적으로 대화를 하는 모습이다.
확대회담에서는 북측에서 김영철 노동당 부위원장과 리용호 외무상 등 2명이, 미국 측에서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과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보좌관, 믹 멀베이니 백악관 비서실장 대행 등 3명이 배석한 가운데 양측 참석자들이 테이블에 손을 얹고 밝은 표정으로 회의한 모습이 담겼다. 여기서 김 위원장은 치아를 드러내거나 붉게 상기한 얼굴로 크게 웃는 모습이었다.
노동신문은 김 위원장이 트럼프 대통령에 대해 "이번 상봉과 회담의 성과를 위해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인데 대해 사의를 표하고 새로운 상봉을 약속했다"며 "이번 회담이 조미관계를 두 나라 인민의 이익에 맞게 발전시키며 조선반도와 지역, 세계의 평화와 안전에 이바지하는 의미 있는 계기"라고 평가했다.
이같은 북측의 보도에 대해 김 위원장과 트럼프 대통령이 예정된 오찬을 취소하고 긴 회의를 했지만 결국 합의문 서명도 하지 못하고 회담이 결렬된 현실과는 괴리가 있다는게 전문가들 분석이다.






























댓글 많은 뉴스
나경원 "GPU 26만장이 李정부 성과? 성과위조·도둑질"
'세계 최고 IQ 276' 김영훈 "한국 정부는 친북…미국 망명 신청"
추미애 "국감 때 안구 실핏줄 터져 안과행, 고성·고함에 귀까지 먹먹해져 이비인후과행"
친여 유튜브 출연한 법제처장 "李대통령, 대장동 일당 만난 적도 없어"
"실핏줄 터졌다"는 추미애…주진우 "윽박질러서, 힘들면 그만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