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전문적인 운동선수들뿐만 아니라 생활체육을 즐기는 인구가 늘어나면서 더 좋은 경기력 및 기록을 내기 위한 훈련 방법뿐만 아니라 훈련 외적인 방법에도 관심이 늘어나고 있다.
운동 수행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기술, 장비, 물질 등을 경기력 향상 보조물 또는 에르고제닉 에이드(ergogenic aid)라고 하며 사용되고 있는 종류도 매우 다양하다.
보통 에르고제닉 에이드는 생리학적인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 음악, 휴식 이완법 등 심리학적인 장애 요인을 제거하기 위한 정신적인 방법, 스포츠 웨어 및 운동기구들을 포함하는 기술적인 방법, 카페인, 스포츠 드링크 등을 포함하는 영양적인 방법 및 섭취하는 약물에 관한 방법 등 5가지로 분류한다. 한 연구보고에서는 선수들 46% 이상이 영양학적 에르고제닉 에이드를 복용하고 있다고 보고했으며, 실제는 그보다 훨씬 더 많은 선수가 복용하고 있을 것이라 짐작된다.
가장 흔히 접할 수 있는 것은 영양제 또는 운동보조제 등으로 알려져 있는 영양학적 에르고제닉 에이드이다. 운동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수분이나 전해질과 같이 탈수로 인한 부작용을 방지해주는 물질과 탄수화물, 지방 등과 같이 에너지 공급원을 보충해주는 물질, 그리고 비타민, 카르니틴, 카페인, 항산화제 등의 에너지 대사나 체내 노폐물 제거와 관련된 일련의 생리작용을 조절해주는 물질 등이 흔히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보조제 중 일부는 실제로 별다른 부작용 없이 경기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반면, 어떤 것들은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1960년 로마올림픽에서 덴마크의 한 사이클 선수가 흥분제(암페타민)을 사용했다가 경기 도중 사망하는 등 여러 약물사고들이 잇따랐다.
이러한 위험성으로 인해 국제올림픽위원회가 흥분제, 마약성 진통제, 심장이완제, 이뇨제 및 아나볼릭스테로이드 등 특정 물질을 섭취하는 행위를 도핑으로 규정하여 금지하게 되었다. 이후 전 세계 반도핑기구가 창설되면서 2003년에는 모든 경기연맹과 73개국 정부가 반도핑 운동을 기본전제롤 받아들인다는 결의문에 서명하기에 이르렀다.
영양보조물은 근육, 혈액, 순환, 유산소지구력에 작용하며 산소 운반능력을 증가시키고 근육에 필요한 연료공급 및 일반 근기능을 강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근조직과 근력에 작용하고 체중증가 및 감소의 효과를 보이며 피로감을 지연시키고 스트레스 해소 및 긴장을 억제시키는 등 여러 가지의 효과들이 보고되고 있다.

보통 운동 중에서 섭취하기 쉽도록 음료, 바, 젤 등 여러 가지 형태로 만들어져 사용되고 있으며 내부에 포함된 영양소도 매우 다양하다. 가장 많이 포함되는 성분으로는 비타민, 카페인, 중탄산나트륨, 아미노산, 크레아틴, 탄수화물, 철분, 카르니틴 및 수분 등이 있다.
이런 성분들은 체중에 따라 적정 섭취량이 다르며 과도한 양을 섭취 시 장점보다는 부작용에 따른 경기력 저하를 가져올 수 있어 주의를 요한다. 같은 양을 섭취하더라도 개개인의 신체적 반응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무분별한 섭취는 지양해야 한다.
박호원 더원정형외과 대표원장(정형외과·스포츠의학전문의)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검찰, '尹 부부 사저' 아크로비스타 압수수색…'건진법사' 의혹 관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