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제칼럼] 영국 프리미어리그 경제학

권혁성(특허법인 이룸리온 대표변리사)
권혁성(특허법인 이룸리온 대표변리사)

수익 공유 통한 자본 확산에 기초
전체 파이 키우는 방식으로 운영

매년 시즌 우승팀 예측 흥미진진
가장 인기있는 빅마켓 자리매김

산업혁명으로 대표되는 18세기 이후 눈부신 기술 향상이 이루어진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기술 자체의 발전뿐만 아니라 새로운 산업의 태동 또한 괄목할 만하다.

신체 활동을 통한 건강 증진이 일차 목적인 운동(스포츠)도 엄연히 하나의 산업군으로 분류된다. 스포츠산업은 스포츠 활동과 관련된 경제활동을 하나로 묶은 것이다. 그 정점에는 스포츠 활동이 자리매김하고 있다. 관람 기회를 제공하는 프로 구단을 비롯해 스포츠 활동을 직접 생산하는 업체나 단체가 스포츠산업의 핵심 부문이라고 할 수 있다.

시장규모에 기초한 스포츠산업은 미국이 주도하고 있다. 각종 경제 관련 자료를 제공하는 howmuch.net에 의하면 연간 130억달러 매출인 미식축구(NFL)가 가장 큰 시장규모다. 이어서 95억달러 규모의 미국 프로야구리그(MLB), 48억달러의 미국 프로농구리그(NBA)와 37억달러 규모의 북미아이스하키리그(NHL)가 있다. 유일하게 영국 프로축구리그(Premier League)가 53억달러 규모로 5위권 내 3위에 위치한다.

박지성, 손흥민 선수로 인해 국내에도 익숙한 영국 프리미어리그는 그 역사가 생각보다 짧다. 1888년부터 운영된 세계 최초의 축구리그인 풋볼리그로부터 1992년 독립(?)했기 때문이다.

그런데 그 독립 과정이 자못 흥미롭다. 프로 구단의 주된 수입원은 예나 지금이나 중계권료이다. 프리미어리그 탄생 이전 중계권료의 배분은 1부 리그와 4부 리그 전체를 대상으로 균등 배분이었다. 그런데 당시 런던위캔드 텔레비전을 운영하던 그렉 다이크가 1부 리그의 상위 5개 팀에 독점 중계권을 전제로 차등적 수익 배분을 제안하게 된다. 이를 계기로 22개 팀이 새로운 독립 리그인 프리미어리그를 운영하게 된 것이다.

주목할 사안은 리그 순위와 무관하게 중계권료를 균등 배분하는 제도에 반대하며 창설된 프리미어리그가 여전히 수익의 균등 배분을 근간으로 유지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소위 50/25/25모델로 리그 전체 중계권을 50은 공동 분배, 25는 순위에 따라, 25는 방송 횟수 등에 따라 지급하는 식이다.

특히 해외 중계권료는 전액 균등 지급이다. 이는 1위 팀과 최하위 팀의 수입 차이가 크지 않은 결과를 낳는다. 2018/19 시즌 수입 기준 1위와 20위 팀의 차이는 1.57배에 불과하다. 원년인 1992년의 2.7배 대비 더 균등 배분이 이루어진 셈이다.

반면에 유럽 5대 리그를 이루고 있는 스페인의 프리메라리가와 이탈리아 세리에A의 우승 팀과 최하위 팀의 연간 수입은 각각 12.5배와 10.0배의 차이가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구단별 운영비와 우수 선수 스카우트를 위한 투자액의 큰 차이를 낳게 된다. 상대적 부익부 빈익빈의 생태계가 만들어지는 것이다.

결국 유럽 축구 빅5 중 프리미어리그를 제외한 4개 리그의 우승팀은 매년 쉽게 예측이 되고 실제 하나 또는 두 팀 정도가 우승을 독점하고 있다. 반면에 프리미어리그는 매 시즌 우승팀의 예측이 어려운 흥미진진한 리그가 진행되어 결과적으로 가장 인기 있는 빅마켓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영국 축구 침체기를 극복하기 위해 '선택과 집중'으로 새롭게 탄생한 프리미어리그. 그러나 그들은 수익의 공유를 통한 자본 확산에 기초해 전체 파이를 키우는 정책으로 세계 최고의 축구 리그를 소유하게 된다.

그렉 다이크에게 선택받은 빅5 클럽들이 성적에 따른 중계권의 차등 지급을 고집했다면 지금의 성공한 프리미어리그가 존재했을지 궁금하다. 소위 가진 자인 빅5 클럽들이 규제일 수 있는 차등 지급을 원칙으로 승화시킨 덕분이라 해도 결과적으로 과언이 아니다.

만년 우승 후보인 리버풀은 프리미어리그 설립 이후 한 번도 우승을 못 했다. 그런 리버풀이 금년 시즌 우승을 향해 순항 중이다. 리버풀의 홈구장인 안필드 구장 내부 계단을 오르다 보면 층마다 한 구절의 글귀가 적혀 있다.

붉은색 바탕에 흰 글씨로 새겨진 그 글귀는 그들의 응원가인 'You'll never walk alone'의 가사이다. 비록 먼 나라 프로축구팀의 응원가이지만 한 걸음이어도 함께 나아간다는 그들의 외침이 유난히도 큰 울림으로 다가서는 요즘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