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일자리·배움 위해 서울로 향하는 대구 청년들

일자리 매력 낮아…보수적·폐쇄적인 분위기도 문제
귀향 생각 있는 청년 공략할 대책 필요

지난해부터 시작한 청년대구학교의 활동 모습. 청년들이 대구의 역사를 배우고, 역사의 현장을 체험하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다. 청년들이 단체로 삼성창조캠퍼스에 방문해
지난해부터 시작한 청년대구학교의 활동 모습. 청년들이 대구의 역사를 배우고, 역사의 현장을 체험하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다. 청년들이 단체로 삼성창조캠퍼스에 방문해 '삼성상회' 앞에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대구시 제공

지난해 대구를 빠져나간 20, 30대 청년은 13년 만에 가장 많았다. 청년 유출이 전국의 광역시도 가운데도 최상위권이었다. 낮은 임금과 많은 근로시간 등 대구 일자리의 매력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폐쇄적이고 보수적인 분위기도 영향을 미쳤다.

2018년 시작한 청년도시탐사대의 활동 모습. 청년들이 대구의 여러 장소를 탐구하면서 장소를 재해석하고, 청년의 언어로 표현하는 사업이다. 대구시 제공

◆서울로 향하는 대구 청년들

청년들이 취업을 위해 대구를 떠나 서울로 향하고 있다. 이달 대학 졸업 예정인 최성일(27·가명) 씨는 지난 설 연휴에도 공무원 시험 준비에 몰두했다. 큰집에 잠깐 들른 시간 외에는 공부만 했고, 연휴가 끝나자마자 곧바로 서울의 한 고시원으로 거처를 옮겼다. 최 씨는 "앞으로 있을 면접시험에 대비하려면 이달 말까지만이라도 서울에 머무르며 서울의 학원에서 특강을 들어야 한다"고 했다.

아예 서울살이를 선택한 청년도 있다. 취업준비생인 김성환(29·가명) 씨는 2년 전 대구를 떠나 서울 신림동에 생활하고 있다. 구인 사이트에 올라온 일자리 대부분이 서울에 있는 것을 보고 서울살이를 결심하게 됐다. 김 씨는 "기업들의 공채가 몰리는 시기엔 교통비가 주거비보다 더 많이 들었다"며 "차라리 서울에서 자취하는 게 낫겠다고 판단해 이주를 선택했다"고 했다.

고등학교 때까지 대구에서 살았던 김민수(27) 씨는 서울에 있는 대학으로 진학했다. 지난해 졸업을 했지만 그대로 서울에 머물며 취업을 준비하고 있다. 김 씨는 "서울에 있으면 취업 관련한 정보와 기회가 더 많다는 이점이 있다"며 "꼭 서울에 있는 직장만을 원하는 건 아니지만 대구에 갈만한 기업이 많지도 않아 서울에 있게 됐다"고 말했다.

2018년 시작한 청년도시탐사대의 활동 모습. 청년들이 대구의 여러 장소를 탐구하면서 장소를 재해석하고, 청년의 언어로 표현하는 사업이다. 대구시 제공

◆일자리와 배움을 위해 서울로

대구 청년 3명 중 2명은 다른 지역으로 이주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시가 2018년 조사한 청년실태조사에 따르면 설문에 참여한 대구 대학생 307명 중 66.8%가 이주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취업준비생은 500명 중 64.6%가 다른 곳에서 살고 싶다고 했다.

이주하고 싶은 이유(중복응답)로는 '새로운 곳에 살고 싶어서'(대학생 56.1%, 취업준비생 43.3%)와 '좋은 취업 기회를 얻기 위해서'(40.5%, 39.9%)가 상당수를 차지했다. '보수적이고 폐쇄적인 지역 분위기'(22.0%, 27.6%)를 꼽은 경우도 적지 않았다. 가장 가고 싶은 곳은 대학생은 53.2%, 취업준비생은 54.2%가 각각 서울을 선택했다.

서울로의 이동은 직업과 교육 때문이었다. 최근 10년간 국내인구이동통계를 분석한 결과, 대구 청년의 서울 전출 이유 중 '직업'이 2009년 36.6%에서 2018년 53.2%로 꾸준히 증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다음으로 '교육'도 같은 기간 12.7%에서 26.0%로 상승했다.

실제 청년에게 대구 일자리는 매력이 떨어진다. 많이 일하고 임금은 적게 받기 때문이다. 고용노동부의 '사업체 노동력조사'(5인 이상)에 따르면 지난해 대구 상용근로자의 월 근로시간은 184.7시간으로 특별·광역시 7곳 중 가장 많았다. 반면 월 급여액은 290만8천433원으로 특별·광역시 중 가장 적었다. 상용근로자는 고용계약 기간이 1년 이상이거나 계약 기간이 없는 정규직원을 말한다.

김한곤 영남대 사회학과 교수는 "청년이 수도권으로 향하는 가장 큰 이유는 양질의 일자리와 취업기회가 많아서다"며 "젊은 사람들이 머물 수 있는 일자리 대책 중 지속적이고 실질적인 창업 지원이 필요하다"고 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