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가시화하는 보수 통합, 성공 관건은 기득권 포기이다

새로운보수당 유승민 보수재건위원장이 9일 "문재인 정권의 폭주를 막기 위해 보수는 합치라는 국민 명령을 따르겠다"며 "새보수당과 자유한국당의 신설 합당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총선 불출마도 선언했다. 지난 7일 황교안 한국당 대표에게 회동을 제안한 지 이틀 만에 양당의 해산을 통한 신설 합당을 공개 제안한 것이다. 이로써 그동안 '당위론'으로만 운위돼 왔을 뿐 구체적 진전이 없었던 보수 통합은 새로운 전기를 맞게 됐다.

유 위원장의 제안이 결실을 보게 되면 보수 세력이 4월 총선에서 문 정권과 맞붙어 싸울 힘을 갖게 된다. 그러나 이는 어디까지나 '기초 체력'이다. 거여(巨與)를 꺾기 위해서는 체력을 더 키워야 한다는 것이다. 그런 노력 없이 보수 세력이 4월 총선에서 문 정권 심판이란 결과를 이끌어내기는 어렵다. 결국 '신설 합당'은 범(汎)보수 세력의 총결집으로 확대 발전하는 출발점이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결집'에 참여하는 모든 세력들이 기득권을 버려야 한다. 총선을 코앞에 두고도 보수 통합이 잘 되지 않고 있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신설 합당'이 그렇다. 황 대표와 유 위원장은 지난달 설 직전부터 당 대 당 통합을 위한 비공개 협상을 시작해 의견을 조율해 왔으나 신설 합당의 주체가 누가 되느냐를 두고 이견이 좁혀지지 않았다고 한다.

또 다른 변수는 '통합신당'은 박형준 전 의원이 이끄는 혁신통합추진위원회(통추위)와 통추위가 구성한 통합신당준비위에서 논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한국당 내부 의견이다. 황 대표도 같은 의견인 것으로 전해진다. 무엇이 됐든 보수 통합의 참여 세력들이 보수의 가치를 최우선으로 하고 얄팍한 손익 계산에 집착하지 않아야 가능하다.

이번 총선에서 문 정권을 심판하지 못하면 '한 번도 경험하지 못한 나라'에서 살아야 하는 국민의 고통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다. 이를 막을 책임은 보수 야당에 있다. 그 책임 이행을 위해서는 '통합'이 돼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모든 참여 세력이 모든 것을 내려놓아야 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