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축산식품부가 농업 일자리 확대를 뒷받침하기 위해 산업과 지역혁신을 통한 일자리 창출을 추진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11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당·청 주요 인사, 농업인 등이 참석한 가운데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2020년 업무계획을 보고했다.
'일자리'를 주제로 고용노동부, 환경부와 합동으로 열린 이날 보고에서 농식품부는 '미래를 여는 열쇠, 사람과 환경 중심의 농업·농촌'을 주제로 올해 주요 과제를 발표했다.
농식품부는 ▷농업·농촌 일자리 지원 ▷공익직불제 안착을 중점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농식품부는 2040세대의 안정적 창업과 농촌 정착을 뒷받침할 계획이다.
청년이 원하는 지역의 유휴 농지를 적극 개발해 농지 공급 물량을 확대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창업이 가능한 임대형 온실 30개와 스마트팜을 조성할 예정이다.
청년 농업인 역량 향상을 위한 교육 과정을 확충하고 심층 창업 컨설팅 과정도 신설한다.
기술·아이디어 기반의 일자리 창출 기반을 강화하기 위해 100억원 규모 '영 파머스 펀드'와 215억원 규모 '징검다리펀드'를 신규 조성해 혁신 창업에 대한 투자를 확대한다.
농식품 시장 확대를 위해 신남방·신북방 등으로 수출시장 다변화에도 적극 나선다.
베트남 등지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딸기는 모종 공동 재배와 포장재·설비 지원으로 수출을 확대하고, 포도는 수출 농가에 대한 교육을 강화한다.
신남방 지역에서 한류 활용 마케팅을 통해 수요처를 발굴하고 신북방 지역으로 스마트팜 패키지를 수출한다.
농촌 지역 혁신을 위한 귀농 지원과 사회서비스도 강화한다.
귀농 정보 접근이 어려운 50∼60대 세대를 위해 사전 교육을 실시한다.
농촌형 생활 사회간접자본(SOC) 복합센터 조성을 추진하고 보건·의료·돌봄 등 서비스 취약 지역에 사회적 경제조직을 활용해 필요한 부분을 보완한다.
공공 급식에 로컬푸드 공급을 확대하는 등 지역 공동체 활성화 사업도 지원한다.
오는 5월 공익직불제 시행을 앞두고 세부 계획을 조속히 구체화하기로 했다.
중소규모 농가의 소득 안정을 위해 0.5㏊ 이하 규모 농가는 경지면적과 관계없이 연간 120만원 수준을 지급하는 방안을 검토한다.
그 외 농가는 면적이 작을수록 높은 단가를 지급할 예정이다.
농약과 비료 사용량의 감축 목표를 설정해 농업과 농촌의 공익적 역할을 제고하고, 직불금 부정 수급에 대한 점검과 관리를 강화한다.
김현수 농식품부 장관은 "올해는 확실한 변화를 체감할 수 있도록 사람과 환경 중심의 농정 혁신을 이뤄내겠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