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 직격탄을 맞은 두산중공업이 인력 구조조정 작업에 들어갔다. 탈원전으로 경영 실적이 악화함에 따라 명예퇴직이란 비상수단을 써야 할 지경으로 내몰렸다. 미국에 원자로를 수출할 만큼 세계 최고 수준 원전 기술력을 보유하고, 한때 20조원 규모의 해외 원전을 수주한 한국 대표 원전 기업이 '탈원전 재앙'을 맞았다.
두산중공업이 대규모 감원에 나선 것은 핵심 수익원인 원전 사업이 탈원전으로 붕괴한 때문이다. 문 정부는 울진 신한울 3·4호기를 비롯해 신규 원전 6기 건설을 백지화했다. 원전 1기당 두산중공업 매출이 1조2천억원 이상인 점을 감안하면 탈원전으로 7조~8조원에 이르는 매출이 허공으로 사라졌다. 이 탓에 지난해 매출이 3조7천억원으로 2012년 7조7천억원의 반 토막으로 추락했고 당기순손실은 2018년 4천200억원, 지난해엔 1천억원에 달했다.
업계는 두산중공업에서 명예퇴직자가 1천 명 이상 쏟아져 나올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더 심각한 문제는 두산중공업 감원이 탈원전으로 인한 원전 산업 생태계 붕괴 신호탄이라는 점이다. 마치 댐이 무너지듯 두산중공업의 협력 업체 수백 곳이 감원과 줄도산하는 사태가 나올 것이란 우려가 적지 않다. 탈원전으로 2030년까지 원전 산업 인력 약 1만 명이 일자리를 잃을 것이라는 정부 용역 보고서 예언이 현실로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문재인 대통령 한 사람의 잘못된 탈원전 고집 탓에 원전 산업을 일으켜 세운 핵심 인력과 그 가족들이 무고하게 고통을 받게 됐다. 정세균 국무총리 발언처럼 '그동안 번 돈으로 버틸 처지'가 못 되는 사람들은 경쟁이 치열한 자영업에 뛰어들거나 다른 직장을 구하지 못해 실업자로 전락할 것이다. 당사자들은 물론 그 가족들의 삶이 고단해지고 피폐해질 것은 불을 보듯 뻔하다. 심재철 미래통합당 원내대표가 지적한 민생 재앙(災殃) 가운데 하나가 탈원전으로 인해 빚어지고 있다. 억지 황당 정책인 탈원전을 폐기하지 않는 한 이 민생 재앙은 갈수록 커질 게 분명하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