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출마자들 선거운동 코드 '코로나19 이기자'

실의에 빠진 지역민에게 용기주는 캠페인 제안
영세 소상공인 위한 갖가지 대책도 나와
대처 미흡한 정부 비판도 적잖아

4·15 총선에 출마한 지역 예비후보들이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확산에 따라 대면 선거운동이 사실상 중단됐지만, 위기 극복을 위한 다양한 아이디어를 내놓고 있다.

◆'이겨내자, 대구경북'

미래통합당 예비후보들은 실의에 빠진 지역민에게 힘과 용기를 주는 캠페인을 제안했다.

도건우 예비후보(중남)는 '반드시 이겨내자. 대구경북'이라는 포스터를 디자인하고 지역민들의 용기를 북돋워주고 있다. 그는 선거 자료 배포 대신 포스터 공유에 집중하고 있다.

박준섭 예비후보(북갑)는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시민운동을 제안했다. 대구시민 전체를 대상으로 보름 동안 접촉을 최대한 자제해서 자가격리 조치를 취하자는 게 핵심이다.

최근 선거사무소 건물에서 확진자가 발생한 김용판 예비후보(달서병)는 "대구시민이여! 힘을 냅시다!"라는 자료를 통해 "대구는 결코 혼자가 아닙니다. 결기와 뚝심으로 힘을 내자"고 밝혔다.

◆소외계층 지원 대책 촉구

예비후보들은 어려움에 빠진 소외계층을 위해 지역구와 정당을 초월해 정부의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나섰다.

이진숙 통합당 예비후보(동갑)는 "영세 소상공인에게 세금 납부 기한 연장, 분할 납부, 대출이자 감면 등 구체적 지원 계획 수립이 필요하고 강제격리 가구에는 생활안정 지원을 위해 학자금 대출 및 긴급 생계비 지원 등 현실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했다.

강대식 통합당 예비후보(동을)는 "정부와 지자체가 코로나19 확산 방지에만 급급해 취약 계층과 관련 시설 종사자 지원에 소홀하다는 인상을 지울 수 없다"며 "이들에게 시급히 긴급 예산과 구호 물품을 지원해야 된다"고 주장했다.

권세호 통합당 예비후보(수성을)는 "어려움을 겪는 중소상공인에게 한시적으로 부가세 100% 감면, 인건비 50% 지원, 전기세 등 공과금 100% 감면 등을 지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인선 통합당 예비후보(수성을)는 "벼랑 끝에 서 있는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를 위해 임대료 인하, 월세 및 영업 자금 지원, 학자금 감면과 유예, 부가가치세와 종합소득세 감면 등 할 수 있는 모든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고 했다.

권택흥 더불어민주당 예비후보(달서갑)는 "현재 마스크 판매 방식은 전면 보완돼야 한다"며 "'재난 안전안내문자'를 통해 우체국, 농협 등의 판매시간, 물량 등을 안내해 주민들이 몇 시간씩 수백 미터 줄을 서고도 마스크를 사지 못하는 희망 고문은 당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상태 통합당 예비후보(달서을)는 "많은 사람들이 찾는 교육·체육시설, 사우나, 목욕탕, 대형식당에 열감지화상카메라 설치를 의무화하고 비용은 정부나 대구시가 최대한 지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형룡 민주당 예비후보(달성)는 "중기부에서 코로나19 피해 소상공인들을 대상으로 대출, 보증 등에 모두 1조1천150억원 규모의 지원 내용을 발표했지만 영역별로 지원 규모를 대폭 늘릴 필요가 있다"며 "또 금리 인하 및 대상자 확대와 7~8등급 저신용자 대출도 허용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대통령·정부 비판 열 올려

통합당 예비후보들은 코로나19 대처와 관련해 문재인 대통령과 정부를 강하게 비판했다.

김승동 예비후보(동갑)는 "문재인 대통령은 어느 나라 대통령인가"라며 "그 추위를 견뎌내며 촛불을 든 애국 시민들이 원하는 나라는 이런 나라가 아니다"며 "애국심이 남아있다면 대통령은 당장 청와대에서 나올 것을 촉구한다"고 비판했다.

류길호 예비후보(북갑)는 "국민과 대구시민을 공포로 내몬 문 대통령은 대구시민 앞에 석고대죄하라"며 "일부 국민들은 국민의 희생을 강요하는 문재인 정부를 '문재앙 정부'라 한다"고 날을 세웠다.

이상길 예비후보(북갑)도 "코로나19 확산의 가장 큰 원인은 중국에서 들어온 한국인이라는 발언을 거듭 강조한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은 사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현기 예비후보(고령성주칠곡)는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은 국민께 사죄하고 대구에 상주하라"며 "중국이라는 근본적인 감염원 차단에 실패한 주무부처 장관이 국내 급속 확산의 책임을 특정종교에 상당 부분 떠넘겼다. 이는 '중국 장관'을 자인한 꼴"이라고 비난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