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5 총선을 앞두고 더불어민주당이 개혁·진보 진영 비례대표 후보를 모은 '선거연합 정당' 창당 시나리오에 비중을 두고 본격적인 검토에 착수했다. 주권자전국회의 등 시민단체들이 '미래한국당 저지와 정치개혁 완수를 위한 정치개혁연합(가칭) 창당' 제안서를 민주당에 송부하면서다.
여당이 시민단체 몫 비례대표 공천 문제를 자연스럽게 정리하면서 정당 득표율을 챙기겠다는 판단인 것으로 풀이된다.
정치권에 따르면 민주당이 주권자전국회의 등 시민단체로부터 정치개혁연합 창당에 관한 제안서를 받았고, 이를 이해찬 대표에게 이를 보고했다. 시민단체 측 제안은 민주당과 정의당, 녹색당 등 진보·개혁세력이 합쳐 비례대표용 연합정당을 만들고 각 정당의 비례대표 후보를 여기에 '파견'하는 것이다.
이에 대해 민주당 핵심 인사들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위성정당'이라는 미래한국당 '모델'을 따르지 않으면서도 비례대표 의석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이라는 것이다. 아울러 소수정당의 원내 진입을 열어주는 '연동형 비례대표제' 취지를 훼손하지 않을 수 있어 명분과 실리를 챙길 수도 있다.
한편, 김부겸 민주당 의원(대구 수성갑)은 이러한 논의에 대해 반대 입장을 밝혔다. 그는 "선거 이야기를 하는 게 한가로워 보이나, 짧게 제 입장을 밝히고자 한다"며 "소탐대실이다. 견리사의(見利思義·눈앞의 이익을 보면 의리를 먼저 생각함)라고 했다"고 꼬집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