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신규 확진자수가 하루 100명대로 내려갔지만 정부세종청사 소속 확진자가 30명을 넘어서면서 집단감염의 새 진앙지가 되지 않을까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정부가 지난 14일부터 정부청사에 대한 감염방지 대책을 한층 강화했지만 15일에도 추가 확진자가 나오면서 금주가 확산 여부를 가늠할 중대 고비라는 말이 나온다.
이날 현재 세종청사 확진자는 모두 32명으로 늘었다. 해양수산부가 27명으로 가장 많고, 보건복지부(1명), 대통령기록관(1명), 교육부(1명), 인사혁신처(1명, 천안 관할), 국가보훈처(1명) 등에서도 발생했다. 특히 집단감염이 발생한 해수부를 방문한 인천의 40대 회사원까지 확진 판정을 받았다.
국가 보안1급 시설이 뚫리면서 세종청사는 비상이 걸린 지 오래다. 감염 경로가 뚜렷하게 파악되지 않는 데다 S자(字) 건물구조에 사무실이 붙어 있어 확산을 걱정하는 분위기가 역력하다.
정부는 부처 간 확산 방지에 총력전을 펴고 있다. 먼저 14일부터 세종청사 실내 연결통로(4층)와 옥상정원 출입을 완전 차단했다. 앞서 정부는 청사 건물 방역을 강화하고 승차 검진 방식(드라이브 스루)의 선별진료소를 설치해 운영하고 있다. 출·퇴근과 구내식당 점심시간 시차 이용, 식사 시 한쪽 방향 앉기 등도 병행하고 있다. 회의와 보고는 영상이나 서면으로 대체해왔다.
16일부터는 공직자의 원격 근무가 본격화된다. 앞서 인사혁신처는 공무원 유연근무 지침을 강화하고 부처마다 적정 비율을 정해 의무적으로 원격 근무를 하도록 했다. 사무실 밀집도를 낮추기 위해서다. 이번 주부터 각 부처 별로 자체 복무지침을 시행할 예정인 만큼 사무실 분위기가 크게 달라질 전망이다. 다만 유연근무자 비율은 대국민 서비스에 지장이 없는 범위에서 기관장이 정하도록 했다.
700여명에 달하는 해수부 직원에 대한 검진이 마무리됐지만 확진자들의 감염 경로가 여전히 오리무중이라는 게 문제다. 누가 지표환자 인지, 어디서부터 감염이 시작됐는 지 파악이 안돼 다른 부처로의 확산 여부를 긴장 속에 지켜봐야 할 상황이라는 얘기다.
이춘희 세종시장은 "해수부 등 정부청사 공무원과 가족의 감염경로를 조속히 파악해 감염 확산을 차단하겠다"고 말했다.
세종청사관리본부 관계자도 "방역을 강화하고, 입주부처 및 보건당국과 협조체계를 공고히해 적극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