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전염병 감염 15분내 진단" 포스텍 연구팀 기술 개발

영국 왕립화학회지 등 잇단 게재…분자집계 일종인 압타머 발굴
진단 키트 곧바로 만들 수 있어…치료제로 활용 가능성도 기대

포스텍 생명과학과 장승기 교수(가운데) 연구팀이 코로나19 등 새로운 전염병 감염여부를 조기에 진단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포스텍 제공
포스텍 생명과학과 장승기 교수(가운데) 연구팀이 코로나19 등 새로운 전염병 감염여부를 조기에 진단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포스텍 제공

코로나19 등 전염성 높고 치명적인 새로운 전염병 감염 여부를 15분 이내에 빠르게 진단하는 기술이 개발됐다.

포스텍(총장 김무환) 생명과학과 장승기 교수, 권준영 박사, 나라얀 박사 연구팀은 ㈜압타머사이언스와 함께 '분자집게'의 일종인 압타머(핵산물질) 발굴방법을 통해 높은 민감도와 특이도로 15분 이내에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감염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신속 진단법을 찾아냈다고 19일 밝혔다.

신종 바이러스에 모두 활용할 수 있는 이 방식은 검진뿐만 아니라 치료에도 활용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이 연구성과는 관련 분야의 저명한 학술지인 '저널 오브 바이오메디컬 나노테크놀로지'와 '영국 왕립화학회지'에 잇따라 게재됐다.

압타머는 DNA나 RNA로 이루어진 핵산물질이기 때문에 간단한 저분자 화합물에서 단백질 같은 고분자 물질에 이르는 다양한 표적에 대해 높은 특이도와 결합력을 보이는 분자 집게의 일종이다. 특히 DNA 압타머는 안정성이 높아 운반과 보관이 쉽다. 염기서열만 알면 저렴한 생산비용으로 대량으로 합성할 수도 있다.

연구팀은 막단백질을 따로 분리 정제하는 대신에, 인체에는 무해하지만 곤충을 감염시키는 '배큘로 바이러스'를 재조합해 이 바이러스 외피에 표적 단백질을 가지도록 만들었다. 이렇게 재조합된 바이러스를 분리 정제하는 방법인 '바이로 셀렉스'를 통해 연구팀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외피 단백질에 작용하는 새로운 압타머를 발굴해냈다.

장승기 교수는 "바이로 셀렉스 방법을 이용하면 코로나19 바이러스의 표피 단백질에 높은 특이도와 결합력을 가진 압타머를 발굴할 수 있다"며 "이 압타머들을 이용하면 신속진단 키트를 곧바로 만들 수 있고, 나아가 치료제로도 활용할 수 있다"고 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