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등 감염병 대유행에 일반 환자가 제때 진료받지 못하는 문제를 하루빨리 해결해야 한다는 지적이 높다. 대구 17세 고교생이 폐렴 증세를 앓다 숨진 데다, 연예인·BJ 등도 잇따라 치료 적기를 놓치고 숨지는 사례가 이어져서다.
20일 의료계에 따르면 대구에서 폐렴 증세를 보이다 사망한 17세 소년은 고열에도 불구하고 제때 입원 치료받지 못했다.
사망자는 지난 12일 고열 등 증세로 코로나19 감염을 의심, 경북 경산 중앙병원 선별진료소를 방문했으나 시간이 늦어 검사받지 못하고 귀가했다. 이튿날 영남대병원에 입원했으나 5일 만에 목숨을 잃었다.
기모란 국립암센터 교수는 "영남대병원에 갔을 때부터 상황이 좋지 않았다고 알고 있다. 일찍 치료해야 했는데 (앞선) 병원에서 집으로 돌려보낸 게 문제"라며 "병원 상황은 잘 모르지만, 17세 정도면 해열제만 먹고도 괜찮을 거라 판단했던 것 같다"고 말했다.
의료계에선 이번 같은 사례가 또 나올 수 있다는 우려가 높다. 실제 지금도 적시에 진료받지 못하는 환자가 잇따르고 있어서다.
최근 숨진 '얼짱시대' 출신 BJ 이치훈의 사망 원인과 관련, 그의 지인은 "이치훈이 임파선염을 앓던 중 병원 응급실에 갔으나, 격리실이 가득 찼다며 보건소나 다른 응급실에 가라며 돌려보냈다"고 주장하고 있다.
엄중식 가천대 길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감염병이 유행할 때마다 일반 환자가 제대로 진료 못 받는 상황이 문제가 된다. 예를 들어 당장 항암 치료를 받아야 하는 환자가 열이 나면 코로나19 진단 검사 결과가 나올 때까지 다른 치료를 기다려야 한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전국 주요 병원에선 호흡기질환 환자에게 진료 연기를 권유하고, 치료가 필요하다면 코로나19 검사부터 받도록 하고 있다. 이로 인해 환자가 치료를 기다리는 시간이 길어지고, 자칫 초기 치료 시기를 놓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의료계는 정부가 코로나19 환자에 대한 구체적 임상 정보를 공유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의료 현장에서조차 코로나19에 대한 막연한 공포로 방어적 대처를 할 수밖에 없다는 설명이다.
정기석 한림대 의대 호흡기내과 교수(전 질병관리본부장)는 "세균성 폐렴 환자는 (증상이 나타나고) 8시간 이내 항생제를 투여해야 한다. 이런 환자가 코로나19 검사 결과를 기다리느라 반나절을 허비하면 상태가 나빠질 확률이 높다"고 지적했다.
정 교수는 또 "의사들이 의료현장에서 제대로 된 판단을 하기에는 코로나19 환자의 임상 정보가 너무 부족하다. 지금까지 나온 환자 중 발열은 몇 퍼센트(%) 있는지, 중증환자는 증상 발현일부터 며칠 만에 상태가 악화했는지에 등 정보를 정부가 공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정부는 코로나19에 의료자원이 집중돼 중증환자 대처가 늦지 않도록 의료 체계를 재정비하겠다고 밝혔다.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장은 이날 질병관리본부 정례 브리핑에서 "의료체계를 신속하게 정비해서 코로나19 의심환자와 일반적인 응급환자, 중증환자도 (빨리) 진료받을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