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긴급자금 100조원 풀어 '코로나 도산' 막는다

文대통령 제2차 비상경제회의…1차 50조 규모서 두배 확대
중기·자영업자에 58조원·자금시장에 42조원 공급

문재인 대통령이 24일 청와대에서 코로나19 관련 2차 비상경제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24일 청와대에서 코로나19 관련 2차 비상경제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코로나19 확산으로 미증유 위기에 처한 한국경제를 뒷받침하기 위해 100조원 상당의 긴급자금을 투입한다. 기업과 금융시장에 풍부한 유동성을 공급해 위기상황을 버틸 시간을 확보해주자는 것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24일 청와대에서 제2차 비상경제회의를 주재하고 이같은 내용의 금융시장 안정화 방안을 확정했다.

정부는 이번 대책으로 당초 1차 비상경제회의에서 밝혔던 50조원 규모의 민생·금융안정 패키지 프로그램을 2배로 확대, 기업과 금융시장에 모두 100조원을 투입하기로 결정했다.

코로나19로 인한 경제 타격이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을 넘어 중견·대기업까지 미치는데다, 음식·숙박·여행·서비스업 등을 넘어 산업 전 분야로 확산함에 따라 대응 범위와 규모를 대폭 키운 것이다.

당초 29조2천억원 상당을 편성했던 중소기업·자영업자 대출·보증 등 금융지원은 29조1천억원이 증액돼 모두 58조3천억원으로 늘었다. 경영안정자금 지원 대상에 중견·대기업도 포함해 일시적 자금 부족으로 위기를 겪는 대기업이 없도록 안전장치를 만든 것이다.

앞서 1차 민생대책에는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를 대상으로 초저금리(연 1.5%) 긴급경영자금 12조원과 특례보증 5조5천억원, 영세 소상공인 전액보증 3조원 지원 등이 포함됐었다.

코로나19로 혼란을 겪고있는 자금시장에는 41조8천억원을 공급된다. 당초 27조원 안팎의 규모가 될 것이라는 시장의 예측을 훌쩍 뛰어넘은 금액이다.

채권시장 안정펀드가 20조원, 증권시장 안정펀드는 총 10조7천억원, 회사채 발행 시장에 총 11조1천억원을 공급한다.

증권업계는 채권시장 안정펀드 규모가 당초 예상의 2배로 커진 데 대해 "시장 안정에 충분한 규모"라고 높이 평가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