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미래한국당 몸짓 불려 투표용지 앞 번호 노린다

선거보조금도 겨냥…20석 목표 물밑 작업

24일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 현충탑에서 미래한국당 비례대표 후보자인 시각장애인 피아니스트 김예지 씨(오른쪽 두번째 부터)와 안내견 조이, 윤주경 후보, 원유철 대표, 지성호 후보, 염동열 사무총장 등이 합동참배를 위해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24일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 현충탑에서 미래한국당 비례대표 후보자인 시각장애인 피아니스트 김예지 씨(오른쪽 두번째 부터)와 안내견 조이, 윤주경 후보, 원유철 대표, 지성호 후보, 염동열 사무총장 등이 합동참배를 위해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미래통합당의 비례대표 위성정당인 미래한국당이 통합당으로부터 현역 의원 10여 명을 추가로 수혈 받는 방안을 추진한다.

현재 9명(지역구 7명·비례대표 2명)인 현역을 20석 안팎으로 늘려 정당 투표용지 앞 번호를 차지하고 선거보조금도 최대한 확보하자는 속셈이다.

한국당은 21대 총선 불출마 의원과 비례대표를 대상으로 추가 영입을 위한 물밑 작업을 활발하게 벌이고 있는 것으로 24일 알려졌다. 전날 원유철 한국당 대표는 "10여 명의 통합당 의원들이 추가로 이적할 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다.

4선의 김정훈 의원이 이날 통합당에서 한국당에 합류해 상임고문을 맡기로 했고, 불출마한 여상규 의원· 비례대표 김종석·송희경 의원 등이 '이적 의원'으로 거명된다.

한국당이 10명을 더 파견 받으면 현역이 19석으로 늘어나면서 원내 4당으로 뛰어 오른다. 더불어민주당과 통합당이 비례대표 후보를 내지 않을 것인 만큼 민생당(21석)에 이어 정당 투표 두 번째 칸을 차지할 수 있다. 다만 내부 갈등을 겪고 있는 민생당 내에서 민주평화당계의 철수 움직임이 있어 최종적으로 어느 칸에 위치하게 될지 예상하기 쉽지 않다. 민주당이 위성정당인 더불어시민당에 얼마나 의원을 이적시킬 지도 지켜봐야 한다.

정당투표 용지 위치를 놓고는 당내 셈법이 엇갈린다. 지역구 투표에서 통합당의 기호가 2번이라는 점에서 한국당도 같이 위치하는 게 좋다는 입장과 맨 앞 번호가 낫다는 의견이 엇갈린다.

이 참에 교섭단체(20석)를 만들어 선거운동 자금을 더 확보하자는 의중도 엿보인다. 정치자금법에 따르면 오는 30일 지급되는 선거보조금은 교섭단체들에 총액의 50%를 균등 배분한다. 반면 5석 이상 20석 미만 정당에는 총액의 5%를 배분해 차이가 크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