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4월부터 6월까지 금융회사에 유동성을 무제한으로 공급한다.
1997년 외환위기나 2008년 금융위기 때도 하지 않던 전례 없는 조치로, 불확실성이 고조된 국내 자금시장이 안정을 되찾을지 관심이 모아진다.
한은은 26일 금융통화위원회를 열고 일정 금리수준 아래서 시장의 유동성 수요 전액을 제한없이 공급하는 주단위 정례 '환매조건부채권(RP)' 매입 제도를 도입한다고 밝혔다.
미국 등 주요국 중앙은행이 펼치는 양적완화(QE)와 비슷한 조치로, 금융시장 안정을 꾀하고 정부의 민생·금융안정 패키지 프로그램을 지원하기 위해서라는 것이 한은의 설명이다.
한은은 6월 말까지 매주 정례적으로 91일 만기의 RP를 일정금리 수준에서 매입한다. 입찰금리는 기준금리(연 0.75%)에 0.1%포인트를 더한 0.85%를 상한으로 입찰 때마다 공고한다.
이와 함께 한은은 RP 입찰 참여 금융기관에 증권사 11곳을 추가하고, RP 매매 대상증권도 한국전력공사 등 공기업 발행 채권 8종을 추가했다.
국내 금융계는 "한은이 단기 금융시장을 안정시키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보인 것"이라며 반겼다.
금융권은 코로나19로 인한 투자 심리 위축으로 회사채 등 채권 시장까지 얼어붙으면서 기업 자금 조달이 어려워지는 상황이다. 증권사들이 주가연계증권(ELS) 관련 마진콜(추가 증거금 요구) 대응을 위해 현금이 급하게 필요해지면서 기업어음(CP) 등 단기 채권을 시장에 풀어 채권 금리가 뛰는 등 유동성 위기 경보음이 켜졌다.
한은은 7월 이후에도 시장 상황과 입찰 결과 등을 고려해 조치 연장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미국 등 선진국은 물론 우리나라도 유동성 공급을 통해 기업 부도 리스크 등를 막기 위한 방어막을 강하게 치고 있다는 점은 금융시장 안정에 긍정적 신호로 평가할 수 있다"고 봤다.
※환매조건부채권(RP)이란?=금융기관이 일정기간 후에 다시 사는 조건으로 채권을 팔고 경과 기간에 따라 소정의 이자를 붙여 되사는 채권이다. 한은이 공개시장운영으로 RP를 매입하면 시장에 유동성(통화)이 공급된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