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정세균 "전시에도 천막학교 운영한 나라…온라인개학 불가피"

"휴업 무기한 연장은 아이들의 학습권과 우리의 미래 포기"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 기간 연장도 시사

정세균 국무총리가 2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세균 국무총리가 2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세균 국무총리가 2일 온라인 개학과 관련해 "불완전하더라도 조속히 학업을 시작하는 것이 옳다고 판단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 총리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주재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개학 이후에도 안정화 단계까지 크고 작은 혼선을 피할 수 없을 가능성이 많다"면서도 온라인 개학이 불가피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정 총리는 "우리는 한국전쟁 중에도 천막교사를 설치하고 학교를 운영한 나라로, 오늘날 대한민국의 믿기지 않는 성장과 번영은 그러한 교육에 대한 열정이 바탕이 됐다"며 "당장은 휴업을 무기한 연장하는 것이 쉬운 길일지도 모르지만 그것은 아이들의 학습권을 희생시킬 뿐 아니라 어쩌면 우리의 미래를 포기하는 것일 수도 있다"고 언급했다.

이어 "정부는 최선을 다해 원격수업을 준비하고, 필요한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며, 문제가 발생하면 즉각 고치고 보완하겠다"며 "국민들도 정부가 고심 끝에 내린 결정임을 이해하고 너른 마음으로 협력해달라"고 당부했다.

오는 5일까지 2주간 시행 중인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를 당분간 유지하겠다는 뜻도 밝혔다.

정 총리는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는 감염을 다시 확산시킬 위험이 있다. 일상복귀를 무한히 미룰 수도 없고 국민들이 느끼는 피로도가 상당하다는 사실도 잘 안다"며 "전세계적 확산세가 유례없이 가파르고 해외유입과 집단감염이 계속되는 상황에서 사회적 거리두기를 완화하는 것은 감염을 다시 확산시킬 수 있다는 위험이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빠른 시일내 의견수렴과 정부내 논의를 거쳐 결정한 다음, 사회적 거리두기를 어떻게 지속해 나갈 것인지 국민들에게 말씀드리겠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