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강의 체제 장기화에 따른 대학등록금 반환 요구에 대해 정부와 대학 등이 해법 찾기에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거세다.
대구권 대학들에 따르면 온라인 강의가 계속 연장돼 애초 3월 16일부터 29일까지 2주간 계획했던 온라인 강의를 현재 대부분의 대학이 5월 3일까지 하는 것으로 방침을 정했다. 이마저도 유동적이어서 최대 1학기 전체가 온라인 강의로 채워질 가능성도 적잖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실험·실습이 많은 이공대와 예체능, 의대 학생들의 불만이 특히 커지고 있다. 경산의 한 대학에 다니는 A(22·관현악과 3학년) 씨는 "현재 학교를 못 가니 사설연습실에서 별도의 비용을 지불하고 레슨을 받고 있다"며 "1주일 전부터 실습 강의도 온라인으로 진행되면서 아무래도 실시간으로 피드백을 받지 못하는 등 불편한 점이 많다"고 했다.
또 다른 대학생 B(25) 씨는 "학원들도 온라인 강의를 하게 되면서 학원비의 30%를 할인하고 있다"며 "대학만 등록금 반환을 하지 않는 것은 형평성에 맞지 않다"고 지적했다.
대학 총학생회도 대학 측에 학생들의 불만을 수차례 건의하고 있지만 뾰족한 수를 찾지 못해 답답해 하고 있다. 한 대학 총학생회 관계자는 "대학들은 온라인 강의가 등록금 반환 요건이 안 된다며 난색을 표하고 있고, 교육부는 대학이 자율적으로 해결해야 한다며 뒷짐만 지고 있다"고 말했다.
대학가에서는 이제라도 교육부와 대학, 관련 기관 등이 머리를 맞대고 해법을 찾기 위한 논의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와 관련, 전국 26개 대학 총학생회 연대단체인 전국대학학생회네트워크는 6일 정부 서울청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교육부-대학-학생 3자 협의회 소집 등을 요구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