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정세균 “생활방역 전환 논의…이전 삶으로 복귀 아냐”

중대본 회의 “섣부른 완화는 되돌릴 수 없는 대가 치러”

정세균 국무총리가 13일 오전 정부서울청사 중앙재난안전상황실 서울상황센터에서 열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세균 국무총리가 13일 오전 정부서울청사 중앙재난안전상황실 서울상황센터에서 열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세균 국무총리는 13일 생활방역 체제로의 전환 여부와 관련, "이번 주 후반에는 그간 진행된 강도 높은 사회적 거리두기의 성과를 평가하고, 생활방역 체제로의 전환 여부를 논의할 예정"이라며 "어느 정도 경제사회 활동을 영위하면서도, 코로나19의 전파위험을 낮추기 위해 필요한 강도로 사회적 거리두기를 지속하는 것이 생활방역"이라고 말했다.

정 총리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주재한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생활방역은 코로나19 이전 삶으로의 복귀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라고 언급한 뒤 "예전과 같은 일상으로는 상당 기간, 어쩌면 영원히 돌아갈 수 없을지도 모른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당연히 지금보다는 위험수준이 높아지기 때문에, 먼저 생활방역으로 전환할 수 있는 여건이 달성되었는지에 대해 의료계와 방역전문가들의 평가와 전망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섣부른 완화는 되돌릴 수 없는 대가를 치른다는 점에서 매우 조심스럽게 접근해야 하고, 전환시기와 방법에 대해서도 깊이 고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많은 국민들께서 기대하는 것보다 오래 걸릴 수도 있고, 여러 번에 나누어 가야 할지도 모른다"며 "교육, 산업, 노동, 문화, 종교 등 각계의 의견을 수렴해서 장기간 지속할 수 있는 지침을 만들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생활방역의 실천을 유도하기 위한 제도적 개선도 뒤따라야 하겠다"며 "여러 목소리를 귀 기울여 들으면서 신중하게 결정하도록 하겠다"고 역설했다.

정 총리는 "최근 유학생 등 해외에서 귀국한 자가 격리자의 가족 간 감염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자가 격리기간 중에 가족이 감염이 되고, 그 가족이 다시 지역사회로 전파할 위험이 있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그러면서 "자가 격리자와 가족 분들은 가능하면 분리해서 생활해 주시고, 최대한 마주치지 않도록 노력해 주시기를 당부 드린다"며 "다중시설 종사자, 공무원이나 자영업자 등 지역사회 접촉이 빈번한 분들은 특히 주의해 달라"고 말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