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취재현장] 온데간데 없는 선거

제21대 국회의원선거 사전투표가 시작된 지난 10일 오전 대구 수성구 범어동 수성구의회에 마련된 사전투표소에서 시민들이 투표를 하고 있다. 김영진 기자 kyjmaeil@imaeil.com
제21대 국회의원선거 사전투표가 시작된 지난 10일 오전 대구 수성구 범어동 수성구의회에 마련된 사전투표소에서 시민들이 투표를 하고 있다. 김영진 기자 kyjmaeil@imaeil.com
홍준표 서울정경부기자
홍준표 서울정경부기자

지난해 가을 어느 저녁 식사 자리가 지난달부터 머릿속을 맴돌고 있다. 분명히 우연이었다. 그날 소속 정당이 다른 두 국회의원과 밥을 먹었다. A의원은 마주 앉은 B의원에게 "대구를 위해 형님 같은 분이 21대 국회에도 계셔야 합니다"라고 했다. 그러자 B의원은 "A의원이 대구를 위해 한 번 더 일해줘야지"라고 화답하면서도 "홍 기자, 이런 건 기사 쓰지 마세요. 괜히 양쪽 당에서 해당행위했다고 혼날지 모르니"라고 너스레를 떨었다.

두 사람은 공치사를 주고받은 것일지도 모른다. 다만 그 자리 분위기만큼은 진솔했다. B의원이 "오늘 낮에 서울행 KTX에서 A의원 옆에 앉아 간식을 얻어먹어서 한 말은 아니다"는 농까지 했으니.

또 다른 이야기이다. 미래통합당 공천 작업이 한창이던 지난달 6일이었다. 그날 대구의 한 의원이 'K형'에게 편지를 썼다.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서다. 그는 공개 편지를 통해 통합당에 낙천한 것으로 보이는 K형을 위로하며, 특정 정당이 '물갈이'라는 명분으로 '텃밭'에서 자행하는 공천 횡포를 막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4년 전 K형을 선출했던 유권자들을 신뢰한다면, 민심정치를 한다고 늘 하던 말이 사실이라면 신기루처럼 물거품처럼 사라지지 않아야 한다. 4년 전 그분들이 오늘 당신이었고 오늘 그분들이 4년 후 또 당신이 되는 일은 이제 멈춰야 한다"며 "K형, 건투를 빈다"고 했다.

흐뭇했다. 적어도 기자의 눈에는 그랬다. 이들이 '선수'로 총선이라는 '링'에 오를 모습을 그리니 대구경북(TK) 정치권이 과거보다 한 뼘쯤 자란 기분이 들었다.

그런데 막상 선거판이 벌어지자 기자가 목도했던 '아름다운 해당행위', 품격, 격려 등은 온데간데없이 사라졌다. 과거 선거와 마찬가지였다. 역시나 이번 선거도 TK 유권자가 기준으로 삼을 만한 정책 대결은 없었다. 식상하게도 시작도 같았다. 특정 정당의 '막장 공천' 논란이었다. 이후 양상은 창의적이지도 않았다. 진영 대결, 상대의 흠결을 도드라지게 한 네거티브만 기억에 남았으니. 어디에서는 공식 선거운동 기간 내내 고위 공직자 출신 상대 후보의 재산 형성 의혹만 이슈가 됐다. 어디선가는 후보 배우자의 국적 문제, 이와 관련한 막말 논란이 이어졌다. 심지어 어떤 이들은 '누가 대구에 더 오래 살았느냐'를 갖고 충돌했다.

서글프다. 민주주의의 축제라는 선거가 이래서는 안 된다.

드디어 선택의 시간이 왔다. 오늘 밤이면 이 악다구니도 끝이 날 테다. 그러고는 무엇이 남을까. 당선자에게는 당선증과 영예라도 남겠지만, 지역사회가 얻는 것은? 선거가 할퀴고 간 생채기뿐일지도 모른다. 그래서 감히 상상해본다. 이 모두를 심판해보자는 엉큼한 생각이다.

선량(選良)이 되고자 하는 이라면 누구나 이 시기에 대사회적 '가면'을 쓰고 유권자를 만난다. 그럼에도 TK 유권자의 마음을 찢어놓은 자, 지역 경제를 망친 주범을 심판하자는 이, 국가 경제를 망친 정권을 심판하자는 이까지 모두 진짜 '심판의 주체'인 유권자가 심판해보면 어떨까. 허망한 구호에 현혹되기보다 과연 어떤 선택이 TK가 당면한 현안을 해결하고 밝은 미래를 열어줄지 고민해봄은 어떨까. 누가 지역에 진정성을 갖고 있는 일꾼인지, 어떤 약속이 실천 가능한 것인지 꼼꼼히 살펴봄은 어떨까. 어느 '초인'이 와서 변화를 가져오기를 기다리기보다 앞장서 이끌겠다는 의지를 다져봄은 어떨까.

선거 후 앞으로 4년은 우리가 살아가야 할 현실이기 때문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